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고체연료 로켓시험 공개…미사일 능력 고도화 과시

스커드·노동·SLBM 연료 고체화…‘신속이동·즉시발사’ 가능

북한 김정은 ‘고체연료 로켓’ 분출시험 지휘  (서울=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고출력 고체 로켓 발동기(엔진) 지상 분출 및 계단분리시험(단분리 실험)을 지도했다고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4일 보도했다. 그는 “로켓공업발전에서 새로운 도약대를 마련하였다. 영원히 잊지못할 날, 역사적인 날”이라며 “(앞으로) 원수들에게 무서운 공포와 전율을 안기는 국방과학기술성과들을 다계단으로 연이어 이룩할 것”이라고 말했다.북한 김정은 ‘고체연료 로켓’ 분출시험 지휘 (서울=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고출력 고체 로켓 발동기(엔진) 지상 분출 및 계단분리시험(단분리 실험)을 지도했다고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4일 보도했다. 그는 “로켓공업발전에서 새로운 도약대를 마련하였다. 영원히 잊지못할 날, 역사적인 날”이라며 “(앞으로) 원수들에게 무서운 공포와 전율을 안기는 국방과학기술성과들을 다계단으로 연이어 이룩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24일 고출력 고체로켓 엔진의 지상 분출시험을 공개하고 나섰다. 이는 우리나라와 미국에 대한 미사일 공격능력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음을 대내외에 과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참관한 분출시험이 “성공했다”며 “적대세력들을 무자비하게 조겨댈(힘있게 때리다) 수 있는 탄도로케트(로켓)들의 위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다. 노동신문도 이날 분출 시험 장면을 담은 컬러 사진을 공개했다.

북한은 단거리 미사일과 신형 방사포 등에는 고체연료를 사용하지만, 스커드와 노동·무수단·KN-08 미사일,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등은 액체로켓을 사용하고 있다.


군은 북한이 고체로켓 엔진 분출시험이 진짜로 성공했다면 머지않은 장래에 미사일의 연료를 고체화하는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고체연료는 액체연료에 비해 추진력은 약하지만, 연료를 주입할 필요가 없어 미사일 발사 시간 단축은 물론 첩보위성에 노출될 염려도 없다. 이동식발사대(TEL)를 이용해 은밀하게 이동해 신속 발사가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관련기사



그러나 액체연료와 달리 한번 점화되면 제어가 쉽지 않기 때문에 엔진을 제작하는 고난도 기술이 필요하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체연료는 긴 원통에 알루미늄 분말 등 연료를 잘 섞어서 고르게 채워 넣어야 하는데, 보통 어려운 것이 아니다”라며 “오래 저장하면 점도가 있어 한쪽으로 굳거나 쏠리는 현상이 있고, 한번 점화되면 제어하는 기술도 어렵다”고 말했다.

군 당국도 북한의 고체연료 분출시험 성공 주장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고체연료가 미사일 추진체로 사용되면 그만큼 탄도미사일의 능력과 위협도 커지기 때문이다. 스커드·노동미사일 엔진을 고체로켓으로 바꾸면 연료 주입 시간이나 발사 시간을 줄일 수 있어 발사징후를 사전에 포착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연료주입에서 발사까지 30~40분이 소요된다면 앞으로는 10~15분내로 발사할 수 있다.

우리 군이 2020년대 중반까지 구축할 ‘킬 체인’(미사일 탐지 요격 등 일련의 과정)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를 포착하고 요격하는 데 최소 25분까지를 염두에 두고 있으므로 자칫 킬체인도 무력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북한은 이런 타격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김정은 제1위원장의 앞에 펼쳐진 고체로켓 엔진 설계도와 시험 후 화염에 검게 그슬린 ‘대출력 고체로켓 엔진 분사구’ 사진까지 공개했다. 이 분사구의 크기는 대륙간 탄도미사일인 KN-08 분사구와 비슷한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에도 고체연료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선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춘근 연구위원은 “앞으로 스커드와 노동미사일에 고체로켓 엔진을 사용할 가능성은 크지만 KN-08까지는 아직 멀었다”고 말했다./권홍우기자 hogw@sed.co.kr

권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