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극지연구소, 남극 갈색도둑갈매기 사람 구분하는 ‘인지능력 보유’ 있다

극지연구소는 24일 남극에 서식하는 야생조류 중의 하나인 갈색도둑갈매기가 사람을 구별하는 능력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동안 야생에 서식하는 동물들이 인간을 구분할 수 있다는 보고는 꾸준히 있어 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인가 가까이에 살면서 인간 서식지에 적응해 온 까마귀, 지빠귀와 같은 분류군에서 밝혀진 결과들이다.

남극은 최근에 인간의 활동이 시작된 지역이다. 이처럼 인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살면서 환경에 적응한 동물들도 사람을 구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남극 킹조지섬에 서식하는 조류에 대한 생태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갈색도둑갈매기들이 연구자들에게 매우 공격적으로 반응하며 조사를 반복할수록 그 반응 정도가 점점 세지는 것을 관찰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갈색도둑갈매기가 사람을 구별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둥지에 자주 방문한 연구자와 둥지에 가지 않았던 연구자 두 명이 짝을 지어 어미에게 접근한 뒤 서로 다른 방향으로 걸어갔다.

총 7개 둥지에서 실험한 결과, 모든 실험에서 갈색도둑갈매기는 둥지에 방문했던 연구자를 쫓아가며 공격적인 행동을 했다.

본 연구를 주도한 이원영 극지연구소 박사는 “동일한 옷을 입고 비슷한 속도로 걸어갔음에도 불구하고 둥지에 방문한 적이 있는 연구자를 찾아내는 것으로 볼 때, 갈색도둑갈매기가 사람의 얼굴을 구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대학교, 인하대학교와의 협력연구를 통해 이뤄낸 이번 결과는 동물학분야 저명 학술지인 ‘동물인지(Animal Cognition)’ 2016년 3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co.kr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