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현실로 다가온 '노년 파산'...4명 중 1명 60대 이상

2월까지 428명 파산선고 받아

서울 거주 65세이상 근로자

한달 평균 임금 122만원에 그쳐

2625A14 파산서고자 연령대별 현황2625A14 파산서고자 연령대별 현황




빚에 시달리다 파산한 4명 가운데 1명은 60대 이상 노년층인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에 가장 높은 상황에서 ‘노년 파산’마저 현실로 다가왔다.


25일 서울중앙지법은 올 1~2월 법원이 파산 신고를 내린 1,727명 가운데 60대 이상이 428명(24.8%)에 달했다고 밝혔다. 경제 활동이 활발한 40대(28.2%)와 비슷한 수준이다. 개인 파산자는 50대가 37.2%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8.9%, 20대는 1.0%로 나타났다. 법원이 연령별 파산자 통계를 집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관련기사



문제는 앞으로도 노년 파산이 늘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빈곤율은 2012년 기준 49.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다. 가난에서 탈출하려고 많은 노인들이 경제 활동에 나서고 있지만 넉넉한 소득을 얻기는 쉽지 않다.

24일 서울연구원의 ‘일하는 서울 노인의 특성과 정책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만 65세 이상 임금 근로자의 한 달 평균 임금은 122만 8,000원에 그쳤다. 시간당으로 따지면 5,457원으로 최저임금(6,030원)에도 못 미친다. 즉 이미 상당수 노인이 빈곤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벌이마저 여의치 않으면서 파산에 이르는 사람들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법원 관계자는 “과거 연령별 파산자 통계가 집계된 것이 없어 100% 단정할 수는 없지만 담당 판사들의 견해를 종합하면 노년층 파산이 늘어나는 것은 맞다”며 “결국 노인들의 소득 수준을 높이고 금융 지원 제도, 사회적 복지 시스템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