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5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 7,340달러로 전년대비 2.6% 감소했다. 1인당 GNI는 국민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지표로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나타낸다. 달러 기준으로 GNI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09년 이후 6년 만이다.
1인당 GNI는 2006년 2만 823달러를 기록하며 2만 달러를 처음 돌파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9년 2만 달러 아래(1만 8,303달러)로 꺾였으나 다시 반등해서 꾸준히 늘어왔다. 전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지난해에 달러화 기준으로 1인당 국민소득이 감소한 것은 환율 상승(원화 약세)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평균 원·달러 환율은 1,131원 50전으로 2014년(1,053원 30전)보다 7.4% 올랐다. 달러 아닌 원화 기준으로 1인당 GNI는 3,093만 5,000원으로 전년대비 4.6% 늘었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년대비 0.7%포인트 떨어진 2.6%로 집계됐다. 분기별로 보면 △1·4분기 0.8%(전분기대비) △2·4분기 0.4% △3·4분기 1.2% △4·4분기 0.7%의 흐름을 보였다.
기업들이 투자를 주저하면서 지난해 국내 총투자율은 1998년 외환위기 이후 17년 만에 최저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지난해 국내 총투자율은 28.5%로 2014년(29.3%)보다 0.8%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9년(28.6%)보다 낮으며, 1998년(27.9%) 이후 17년 만에 가장 저조한 수준이다. 전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지난해 국내 총투자율은 기업의 연구개발(R&D) 중심으로 낮았던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국내 총저축율은 35.4%로 전년대비 0.9%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가계의 순저축률은 7.7%로 전년대비 1.4% 올라 지난 2000년(8.4%) 이후 15년 만에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전 국장은 “가계 소비증가율이 가계 소득증가율에 미치지 못하면서 저축률이 상승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계수입이 많이 늘지도 않았지만, 그나마 늘어난 수입도 소비하지 않고 저축으로 돌렸다는 의미다.
한편 우리나라 물가수준을 나타내는 국내총생산(GDP) 디플레이터가 2.2%를 기록하며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눈 값으로 우리나라 전반의 물가수준을 나타낸다. 소비자물가(CPI)가 소비재 위주로 구성됐다면, GDP디플레이터는 중간재, 수입재, 수출재 등의 가격을 포괄하는 더 넓은 개념이다.
GDP디플레이터가 튀어 오르면서 ‘경상성장률(실질성장률+GDP디플레이터)’은 2011년(5.3%) 이후 4년 만에 최고치인 4.9%를 기록했다. 실질성장률이 2.6%에 그쳤지만, 물가(GDP디플레이터)가 많이 오른 탓이다. 지난해 기획재정부는 올해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며 경상성장률 4.5%를 정책목표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