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우후죽순’ 경제특구 수술대 오른다

5개 국책연구기관 용역 진행...4월중 결과 도출

정부는 규제 프리존 지정으로 지역전략산업을 육성하는 동시에 투자가 부진한 기존 경제특구를 수술대에 올리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28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미래창조과학부·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중소기업청은 공동 연구용역을 통해 경제특구의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연구용역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산업연구원(KIET) 등 5개 국책연구기관이 진행하고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오는 4월 중 국책연구기관의 용역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늦어도 상반기 중에는 구조조정 방안이 마련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경제특구에 대한 구조조정에 나서기로 한 것은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무늬만 경제특구’가 적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다. 전국에는 외국인투자지역 90곳, 자유무역지역 13곳, 경제자유구역 8곳 등 무려 111곳의 외국인 투자 특구가 있다. 여기에다 산업단지 27곳, 연구개발특구 5곳, 기업도시 6곳, 혁신도시 10곳 등을 포함하면 경제특구는 200곳이 넘는다. 부안 신재생에너지산업클러스터특구, 서울 강서 미라클메디특구 등 지역특화발전특구만도 172곳에 달한다.

관련기사



하지만 정치적인 수요와 지역 민원에 지정된 곳이 많아 외국인 투자 실적은 지지부진하다. 외국인 투자 금액은 203억달러로 우리나라 전체 외국인 투자 금액(957억달러)의 21.2%에 불과한 실정이다. 국책연구기관의 한 연구위원은 “경기 하강 국면에서 유사한 구역은 통폐합하고 경쟁력이 없는 곳은 지정 해제하는 등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것이 비효율을 줄이는 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co.kr

경제특구는 종류가 다양하고 행정절차가 복잡해 투자가 부진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광양만권 경제특구의 전경.  /서울경제DB경제특구는 종류가 다양하고 행정절차가 복잡해 투자가 부진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광양만권 경제특구의 전경. /서울경제DB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