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한약재 ‘독활’ 진품 구분…유전자 마커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30일 문병철 박사팀이 진통, 소염, 혈액순환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 ‘독활’과 위품인 ‘구당귀’를 구분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문병철 박사팀은 유전자 분석 실험을 통해 땃두릅, 중치당귀, 구당귀 등 각각이 가진 고유의 유전자 정보를 이용해 길이(bp)가 다른 유전자를 증폭시켜 기원식물과 약재를 서로 구분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를 개발했다.


특정 프라이머(DNA 합성 유도) 조합으로 유통되는 독활의 유전자를 증폭한 결과 유전자 길이가 101bp면 땃두릅, 233bp이면 중치당귀, 268bp면 구당귀이며, 두 개 이상의 유전자가 확인될 경우에는 해당되는 길이의 종이 섞여 있는 것을 의미한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개발된 유전자 마커를 활용 중국과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한약재 독활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와 중국 약전에서 독활로 규정하고 있는 땃두릅이나 중치당귀가 아닌 위품 구당귀가 일부 유통되고 있는 것을 알아냈다. 최근 독활의 국내 수요 증가로 인해 위품인 구당귀가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독활과 구당귀는 그 효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주의가 요구된다.

문병철 박사는 “이번에 개발된 유전자 마커는 식물종 고유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한 것으로 분말이나 절편 상태에서도 간편하고 빠른 시간 내에 진품과 유사품 및 유사품의 혼입을 감별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며, “앞으로 다른 한약재에 대해서도 불량 또는 유사 한약재 유통방지를 위한 유전자 감별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덕=구본혁기자 nbgkoo@sed.co.kr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