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 친환경차-3D프린팅 산업 규제 프리존 후보지도 나왔다

울산의 전략산업으로 선정된 친환경 자동차와 3D프린팅 산업을 위한 규제 프리존 후보지도가 나왔다.

30일 울산시에 따르면 시는 친환경 자동차인 수소연료전지차 육성을 위해 도심형 수소충전소와 이를 연결하는 배관망으로 북구 울산공항에서 남구 테크노산단, 시청 방면 등 모두 9,000㎡에 이르는 면적을 1단계 규제 프리존으로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수소에너지 관련 부품 기업 유치와 육성을 위해 장현 도시첨단산업단지 인근에 규제 프리존 지역을 만든다는 안을 내놓았다. 이와 함께 울산 테크노산업단지 일대에도 128만㎡ 규모의 규제 프리존 후보지를 선정했다. 이곳에는 수소에너지 부품 평가 및 에너지 자족형 산업단지를 만들 계획이다.


규제 프리존으로 설정되면 수소충전소와 고압가스의 안전 이격 거리를 완화하고 도로 경계와 안전거리도 삭제할 계획이다. 압축천연가스(CNG) 충전소와 동일한 기준으로 수소충전소 설치기준을 완화한다. 또 현대자동차 부지 내 수소충전소 구축을 지원하는 방안도 계획하고 있으며 전기차와 같은 수소차 세금 혜택 안도 환경부에 제시할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은 수소에너지 산업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수소 관련 기술에 집중 투자해 울산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3D프린팅 산업을 위한 규제 프리존 후보지는 12곳이다. 총 3,572만㎡ 가량으로 울산 테크노파크를 비롯해 울산과학기술원(UNIST), 울산대학교, 혁신도시와 함께 온산국가산업단지, 테크노산업단지, 하이테크밸리, 중산산업단지, 매곡산업단지 등이 포함돼 있다.

관련기사



규제 프리존으로 설정되면 3D프린팅 설계도면 유통과 규제, 특허, 디자인 보호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또 창업기업의 범위를 확대하고 연구 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도 적용할 계획이다. 3D프린터 KC인증절차를 완화하는 등 12가지 규제를 완화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울산시의 이 같은 계획에 14개 3D프린팅 관련 기업이 울산테크노산업단지 등에 입주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케이랩스 등 14개 기업은 500억원 가량을 투자해 기술개발과 함께 제조장비를 들일 계획으로 270명의 고용이 예상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3D프린팅의 경우 원하는 기업은 많지만 기존 입주 희망업체와의 형평성 문제 등으로 다소 조정이 이뤄질 것 같다”며 “3D프린팅 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역발전위원회는 지난해 12월 지역전략산업 27개를 확정해 발표했다. 울산은 친환경 자동차 산업과 3D프린팅 산업이 선정돼 최근까지 규제 프리존을 비롯한 육성계획을 마련했다. 울산시는 규제 프리존 후보지에 대한 구체적 조정 과정을 거쳐 이달 말 지역발전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으로 정부 차원의 맞춤형 집중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

/울산=장지승기자 jjs@sed.co.kr

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