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달빛어린이병원 논란, 환자 편익 먼저 고려해야

휴일이나 야간에도 진료하는 ‘달빛어린이병원’이 난관에 봉착했다. 3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달빛어린이병원은 2014년 16곳으로 출발했지만 현재 운영 중인 곳은 11곳에 불과하다. 그나마 서울에는 전무하고 수도권을 포함해도 1곳뿐이다. 소아청소년과 의사들의 반대가 부진의 이유다. 이들은 달빛어린이병원이 아동병원 등 병원급 의료기관 중심으로 운영되면 동네의원이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이날 열린 공청회에도 불참했다. 연말까지 30곳으로 늘리겠다는 복지부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반대론에도 일리는 있다. 가뜩이나 환자들이 몰리는 대형병원에서 휴일야간진료까지 한다면 주간에 찾아오던 환자들을 빼앗길 수 있다. 의원들이 달빛어린이병원에 참여하면 된다는 주장도 있지만 한정된 인력으로 병원을 꾸려가야 하는 처지에 야간근무까지 하는 게 쉽지는 않다. 하지만 유아·어린이 환자들에 대한 휴일야간진료의 필요성은 분명 존재한다. 유아는 의사소통이 쉽지 않아 증상의 경중을 파악하기 힘들고 면역력이 약해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 게다가 맞벌이라면 아이가 아파도 평일 주간에는 병원에 갈 형편이 못된다. 휴일이나 밤에는 대형병원 응급실에서 전문의를 만나기 위해 몇 시간씩 기다려야 한다. 복지부 설문조사에서 달빛어린이병원의 만족도가 80%에 달하고 85% 이상 응답자들이 재방문 의사가 있다고 답한 이유다.

관련기사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달빛어린이병원은 꼭 필요한 존재다. 국민 건강과 환자 편익이 모든 의료행위에 우선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반대할 명분은 더더욱 없다. 정부도 무턱대고 소아청소년과 의사들의 참여만 강요할 게 아니라 경영난 완화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 달빛어린이병원에 참여하는 의원들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봄 직하다. 국민 건강을 위해 모두의 역지사지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