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반도체 휴대폰 실적 명암희비에...뒤바뀐 샐러리맨 연봉킹

삼성전자 권오현 부회장 149억 1위

신종균 사장은 100억 줄어 48억원

오너중에는 정몽구 현대차 회장 98억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 20억

차석용 LG 생활건강 대표 연봉 2배나 뛰어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전문경영인 가운데 가장 많은 149억5,4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지난 2014년 1위를 차지했던 신종균 삼성전자 사장은 47억9,900만원으로 연봉이 100억원 가까이 줄었다. 권 부회장이 맡은 반도체 사업이 호실적을 냈지만 신 사장의 스마트폰사업은 전년보다 성과가 좋지 않았던 탓에 초과이익성과분(PS)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오너 중에는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이 9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조석래 효성 회장 등이 뒤를 이었다.


30일 상장기업들의 2015년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권 부회장의 연봉은 전년보다 60%나 늘어났다. 상장기업들은 변경된 자본시장법에 따라 연봉 5억원 이상 등기임원의 급여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권 부회장과 신 사장에 이어 삼성전자에서는 윤부근 CE(소비자가전) 부문장이 36억9,700만원을, 이상훈 경영지원실 사장은 31억7,700만원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물산은 최치훈 건설부문 사장이 20억1,800만원, 김신 상사부문 사장은 15억6,600만원, 김봉영 리조트 부문 사장은 11억5,8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이부진 호텔신라 대표


현대차그룹에서는 윤갑한 현대차 사장이 10억5,300만원, 우유철 현대제철 부회장이 16억2,400만원을 받았다. 전년보다 소폭 상승했다. LG그룹은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의 연봉인상이 돋보였다. 차 부회장은 2014년 11억6,600만원에서 지난해 21억5,100만원으로 연봉이 2배 가까이 올랐다. LG화학의 박진수 부회장은 17억9,400만원을 수령했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4개월의 급여자진 반납분을 제외하고 12억700만원의 연봉을 수령했다. SK그룹에서는 SK이노베이션 이사회 의장인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18억원, 성과급 8억원 등 총 26억500만원을 받았고 SK㈜ 조대식 대표이사 사장은 14억2,200만원을 받았다. 박성욱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은 15억4,900만원을 받았다.

재계 오너 중에서는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이 1등을 차지했지만 현대제철 등기임원에서 사퇴하며 2014년보다 117억원이 줄었다. 정 회장의 아들인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지난해 현대차 18억7,000만원, 모비스 6억원 등 총 24억7,000만원을 받았다. 삼성가 오너 중에 유일하게 연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봉이 공개된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는 20억3,100만원을 받았다.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LG로부터 53억4,800만원의 보수를 지급받았다. 2014년(44억2,000만원)과 비교하면 21%가량 늘어났다. 구 회장의 동생인 구본준 ㈜LG 신성장사업추진단장은 LG전자로부터 19억3,5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관련기사



SK 오너 일가 중에는 최신원 SKC 회장이 지난해 17억2,600만원을, 최창원 부회장은 SK케미칼에서 10억원, SK가스에서 12억원의 급여를 받아 지난해 연봉은 총 22억원으로 집계됐다.

금호석유화학 그룹의 박찬구 회장이 31억3,000만원을, 허창수 GS 회장은 19억7,700만원을 받았다. 효성은 조석래 회장에게 44억800만원, 조 회장의 장남인 조현준 사장과 삼남인 조현상 부사장에게 각각 12억3,800만원과 12억100만원을 지급했다. LS그룹의 구자열 회장이 24억9,900만원, 계열사인 LS산전의 구자균 회장이 22억2,200만원의 연봉을 수령했다. 두산그룹은 지난해 박용만 회장에게 14억원을 지급했고 최근 그룹 회장으로 취임한 박정원 회장은 14억1,100만원을 받았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은 29억7,900만원을 받았다.

금융권에서는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린 메리츠종금증권의 대표이사인 최희문 사장이 27억여원의 보수를 챙기며 증권업계 연봉 1위 자리에 올랐다. 대신증권 이어룡 회장의 보수는 24억9,000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고 아홉 번째 연임에 성공한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은 17억2,500만원을 받았다. 증권업계 대표들은 급여보다는 성과급이 더 많았다./박준호기자 violator@sed.co.kr



김현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