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동남권 최대 수출시장으로 10대 신흥국 '부상'

BNK금융경영연구소, ‘10대 신흥국에 대한 동남권 지역 수출 분석’ 보고서 발표

중국을 제외한 10대 신흥국이 2011년 이후 동남권 지역의 최대 수출시장으로 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BNK금융그룹(회장 성세환) BNK금융경영연구소는 ‘10대 신흥국(중국제외)에 대한 동남권지역 수출 분석’ 연구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서 10대 신흥국은 2006년부터 2015년 중 신흥국 GDP 상위 10개국에 매년 포함된 인도, 브라질, 러시아, 멕시코, 인도네시아,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아르헨티나, 폴란드 등 9개국과 이란을 말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6~2015년 중 10대 신흥국에 대한 동남권 지역 수출의 연평균 증가율은 7.5% 달해 미국, 중국 및 유로에 대한 수출 증가세를 크게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동남권 지역 수출에서 차지하는 10대 신흥국의 비중이 2005년 11.7%에서 2011년 이후 15% 내외로 확대되면서 4위 수출시장(1위 중국, 2위 유로지역, 3위 미국, 4위 10대 신흥국)에서 최대 수출시장으로 부상했다.

지난해에는 수출비중이 13.9%로 미국(14.3%)보다 소폭 낮아졌으나 여전히 중국(11.3%)을 능가하고 유로지역(7.0%) 및 일본(5.0%)의 2~3배에 달하는 주력 수출시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품목별로는 기계·기계부품 및 자동차·자동차부품 수출이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여 이들 두 품목의 비중은 2015년 중 신흥국에 대한 동남권지역 수출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46.1%에 달하고 있다.

국가별로 보면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수출이 자동차·자동차부품을 중심으로 가장 빠르게 늘어나면서 10대 신흥국 중 사우디아라비아는 2005년 5위에서 2015년 1위 수출시장으로 올라섰다.


2005년 대비 2014년 10대 신흥국에 대한 동남권 지역 수출 증가요인을 분석한 결과, 신흥국의 수입규모가 늘어나고 동남권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확대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10대 주력품목 중 시장점유율이 확대된 품목은 석유제품·석유화학제품, 기계·기계부품, 선박·해양플랜트, 유기 화학품, 철강 및 귀금속·보석류이다.

반면 자동차·자동차부품, 플라스틱제품, 전기기기 및 철강제품의 시장점유율은 하락했는데 이는 동남권 업체의 해외 현지생산이 늘어나고 중국의 저가제품 공급이 확대된 데 주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동남권 지역의 10대 수출품목 중 8개가 이들 신흥국의 전체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이들 국가의 수입구조 변화는 동남권 지역 수출증대의 제약요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광학·사진·정밀기기, 의료용품은 이들 국가에서 수입비중이 높은 품목임에도 불구하고 동남권의 수출실적이 매우 낮은 점은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동안 10대 신흥국의 공장설비 및 인프라 투자와 동남권지역의 수출은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0대 신흥국의 높은 인프라 투자수요 및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해제는 철강제품, 석유화학제품, 건설기계 등 동남권지역의 주력상품 수출증대에 매우 긍정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브라질,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10대 신흥국 상당수가 원자재수출국임을 고려할 때 지난 1년 반 동안 크게 하락한 원자재가격의 반등여부가 동남권 지역 수출회복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백충기 BNK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동남권은 수출의존도가 매우 높은 경제권역이라는 점에서 수출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인구, 자원 등으로 미뤄볼 때 시장 확대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10대 신흥국 수입시장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과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