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열병합발전소 경제 효과 年 8,500억…미·유럽처럼 제도적 지원해야"

전기연구원 "환경 편익 커"

전국 열병합발전소의 경제적 효과가 연간 8,500억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온실가스를 줄이고 사회적 갈등도 유발하지 않는 장점까지 고려해서다. 이에 따라 미국이나 유럽의 사례처럼 다양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1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전기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집단에너지사업 활성화를 위한 전력시장 제도개선·지원방안 연구’에서 열병합발전의 경제적 효과가 연간 8,452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열병합발전소의 주된 경제효과는 송전과 배전 설비가 필요하지 않고 이산화탄소 등 대기오염 물질을 줄이는 데서 발생한다.

한국의 주된 전력 공급원인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대도시와 멀리 떨어진 데 세워져 전기를 소비하는 대도시까지 끌어오는 과정에서 손실이 생긴다. 또 송전과 배전시설을 짓는 과정에서 지역주민의 반발 등 사회적 갈등을 일으킨다. 반면 열병합발전소는 주로 전력이 필요한 도시나 공단 근처에 위치하고 다른 화석연료 중심의 발전보다 온실가스 배출량도 적다.


이창호 전기연구원 박사는 “열병합발전은 수요지 인근에 위치해 송배전 이슈에서 자유롭다”며 “청정연료를 사용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아 환경 편익도 크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반면 열병합발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부족해 다양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된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유럽연합은 열병합발전을 보급하기 위해 특별보너스를 지급하고 투자비 보조나 세제 혜택을 주고 있다. 미국도 청정에너지기술 보급 확대정책에 열병합발전을 포함했다.

반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정부 지원 속에 2014년 말 기준 열병합발전 운영사 35곳 중 22곳이 손실을 볼 정도로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박사는 “집단에너지사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책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