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주식 대박 의혹’ 진경준 “사고 파는 과정에 문제 없다” 해명

논란 제기된 지 3일 만…“친구 소개로 본인 돈 투자해 샀을 뿐”

공직자 재산 공개에서 게임회사 넥슨 주식을 팔아 대규모 차익을 거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에 휩싸였던 진경준 법무부 출입국관리본부장(검사장)이 “주식을 사고파는 과정에는 문제가 없다”며 뒤늦은 해명에 나섰다. ‘주식 대박 의혹’이 언론을 통해 제기된 지 3일 만이다.

진 본부장은 31일 해명자료를 내고 “넥슨 주식은 지난 2005년 외국계 컨설팅 업체에서 일하던 대학 친구의 소개로 이민을 가는 이로부터 사들였다”며 매수 배경에 대해 밝혔다. 당시 국내 게임산업이 발전할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인데다 게임회사 가운데 넥슨이 유망해 친구의 권유에 따라 주식을 사들였을 뿐 다른 배경은 없다는 것. ‘김정주 넥슨 대표와 대학 동기라 개인적 친분으로 주식을 사들였다’는 의혹을 우회적으로 부인했다.


진 본부장은 “물량이 적지 않아 친구들과 함께 사들였다”며 “주식 매입 자금도 본래 가지고 있던 돈”이라고 설명했다. 대규모 차익을 얻은 데 대해서는 “가격도 액면가인 500원을 크게 웃도는 주당 수만 원 수준이었다”며 “주식 수도 넥슨이 일본 증시에 상장하기 전 주식 분할이 이뤄져 80만1,500주로 늘었다”고 해명했다. 진 본부장은 마지막으로 “백지신탁위원회에서 문제가 없다고 판정했으나 고위 공직자가 주식을 대량으로 보유하는 게 바람직하지 한다는 판단에 따라 처분했다”며 “지금껏 공무를 수행하면서 주식을 사들인 회사와 관련한 업무를 처리하거나 영향을 미친 적이 없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진 검사장이 ‘주식 대박 의혹’에 휩싸인 건 최근 공직자 재산 공개를 통해서다. 그가 2005년 사들였던 넥슨 주식을 지난해 126억461만 원에 팔아 37억9,853만 원의 차익을 얻었다고 알려지면서 주식 취득에 따른 재산 형성 과정을 놓고 논란이 일었다. 당시 비상장사였던 넥슨 주식을 어느 정도 가격에 어떤 경위로 샀는지, 그가 넥슨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가 2002년 금융정보분석원(FIU)에 파견 근무한 이력도 투자와 관련해 연관이 있는지 의혹이 일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