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한-미, 사이버보안 R&D 협력 강화한다

과학기술공동위원회 개최

혁신생태계 구축 등 논의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31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9차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제공=미래창조과학부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31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9차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제공=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 미국이 글로벌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공동연구·인력교류를 진행하기로 했다. 미래세대를 위한 소프트웨어(SW) 교육도 협력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달 30~31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제9차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 분야 협력 전반에 대해 논의했다.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는 지난 2004년부터 장관급 공동위원회로 격상된 과학기술 부문 최고위급 회의로, 올해는 최양희 미래부 장관이 수석대표로 참여했다. 미국 측에서는 존 홀드렌 대통령 과학기술보좌관 겸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이 대표로 나섰다.


본회의 의제로는 양국의 관심분야인 ▲혁신 생태계 구축 ▲사이버보안 R&D 정책 ▲기후변화 및 감염병과 같은 글로벌 이슈에 대한 토론 및 의견 교환이 이뤄졌다.

관련기사



혁신 생태계 구축에 대해 우리측은 공공 연구성과의 기술사업화, SW 교육, 메이커 운동에 대한 정책기조 및 사례를 발표하고 미국과의 협력방안을 모색했다.

사이버보안 연구개발(R&D) 정책에 대해서는 양국이 글로벌 사이버 위협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공동연구, 인력교류 등 양국 간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의 공조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했다.

또 인류를 위협하는 글로벌 문제에 대해 미국 측은 기후변화와 에볼라 전염병을 사례로 R&D 재정지원 체계를, 한국 측은 국가과학기술심의회를 중심으로 한 R&D 정책·예산의 조정체계를 소개했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과학기술과 ICT는 세계경제의 저성장이 지속되는 뉴노멀 시대에 국가성장을 이끌어 주고 새롭게 대두되는 글로벌 문제의 해결 열쇠”라면서 “세계 주요 국가와의 과학기술 외교를 통한 공조체계는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