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반도 비핵화·역사직시 담는다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선언

다음달 1일 열리는 제6차 한중일 3국 정상회의의 최종 결과물이 될 공동선언문에 한반도 비핵화 및 역사 직시 등의 내용이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정상회의 사전준비를 위해 29일 서울에서 열린 3국 간 고위관리회의(SOM)에서는 공동선언문 내용을 집중적으로 조율했다. 회의에는 우리 측의 김홍균 외교부 차관보, 류전민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급), 스기야마 신스케 일본 정무담당 외무심의관(차관보급)이 참석했다.

공동선언문에는 북핵 해결의 시급성을 강조하고 의미 있는 비핵화 재개를 위해 3국이 노력한다는 의지가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또 '역사를 직시하고 미래를 향해 나간다'는 문장을 반영하는 방향이 검토됐다. 지난 3월에 개최된 3국 외교장관회의의 공동발표문에서도 비슷한 표현이 담겼다.

3국 간 각종 협력 프로젝트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 3국 협력기금(TCF·Trilateral Cooperation Fund)을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한중일 정상회의의 정례화 및 내년 일본 개최 방침에 3국 정상들이 합의하는 방향도 논의되고 있으나 중국이 소극적이라고 교도통신이 29일 보도했다.

공식 의제는 아니지만 미중 간 일촉즉발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남중국해 문제가 돌발적으로 거론될 가능성이 있어 우리 정부가 어떻게 대응할지도 주목된다.

한편 이번 한일 정상회담의 성패를 가를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일본 총리는 "한일 외교협상을 정식으로 시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이날 통일부와 통일준비위원회 주최로 열린 '세계평화회의'에서 "(다음달 2일)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게 된다. 박근혜 대통령의 노력에 호응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결심하고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 당국 간의 협상을 정식으로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