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 바이오·현대 전기차로 중국 소비자 사로잡아야

中 재계 핵심 네트워크

류징 장강상학원 부총장

중국은 오는 2020년까지 1인당 국내총생산(GDP) 8,000달러에 이르는 ‘소강사회(小康社會)’의 완성을 추진하고 있다. 기본적인 의식주 문제가 해결되는 중산층 사회를 일컫는 소강사회는 중국 개혁개방의 아버지 덩샤오핑이 내건 구호다. 그동안 세계의 공장 노릇을 하던 중국이 소비 위주의 내수경제로 전환하는 역사적 구분선이기도 하다.


이 같은 전환기의 주역인 중국 경제계 인사들은 지난달 31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결같이 “중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라”고 조언했다. 한국 기업들이 소비자들이 욕망하는 첨단 신상품을 들고 세계 최대 소비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의 등에 올라타라는 얘기다.

류징 부학장류징 부학장





“중국 여행객들이 왜 해외에서 물건을 쓸어담겠습니까. 자국산으론 그들을 만족시켜줄 수 없다는 얘기죠.”

관련기사



류징(사진) 장강상학원(CKGSB) 부학장은 한국 기업이 중국 소비시장에 뛰어들어야 할 이유를 묻자 이렇게 입을 뗐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제 막 바이오 의약품, 관광 등 소비산업에 눈뜨기 시작했는데 ‘메이드인차이나’의 품질은 아직 불만스럽다는 지적이다. CKGSB는 홍콩 최대 부호인 리카싱의 후원으로 설립된 중국 사립 경영대학원이다. 알리바바그룹의 마윈 창업자, 푸청위 전 시노펙 회장 등 중화권 핵심 기업인들이 동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바이오의약품을 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삼성그룹이나 전기차에 몰두하는 현대자동차·LG그룹, 친환경에너지에 미래를 건 한화그룹 같은 한국 기업들이 중국 소비시장을 만나면 광폭의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류 부총장은 기대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 기업들은 아직 첨단 소비 산업 기술력이 낙후한 중국 업체에 비해 확실한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다”며 “북미·유럽·일본의 선진 기업들과의 끈끈한 협력관계도 한국 기업들의 이점”이라고 설명했다. 한국 기업들이 바이오에서 가상현실(VR)·문화창조 같은 분야서 중국 소비자들을 사로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국민들의 핵심 관심사로 떠오른 환경오염도 한국 기업들에겐 새 기회라고 류 부총장은 강조했다. 그는 “전기차나 친환경 에너지사업은 극심한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열쇠로 각광받고 있다”며 “기술력에서 앞선 한국 기업의 친환경 산업 투자는 오염에 대한 중국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면서 기업들로서도 각기 미래 성장동력을 성장궤도에 안착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임진혁·이종혁기자 liberal@sedaily.com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