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여성인재경영대상] 롯데, 공채 40%는 여성…전 계열사 '유연근무제'

최우수상(여성가족부장관상)

신동빈(가운데)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해 말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그룹 여성 리더십 포럼 ‘2015 와우 포럼’에 참석해 김희정(왼쪽 세번째) 당시 여성가족부 장관 등 참석자들과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제공=롯데그룹신동빈(가운데)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해 말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그룹 여성 리더십 포럼 ‘2015 와우 포럼’에 참석해 김희정(왼쪽 세번째) 당시 여성가족부 장관 등 참석자들과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제공=롯데그룹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지난해 말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진행된 ‘2015 와우(WOW·Way of Women) 포럼’에 참석해 여성 리더 육성에 대한 의지를 강조했다. 신 회장은 격려사에서 “2020년까지 간부사원(과장직급 이상)의 30%를 여성으로 구성하고, 반드시 여성 최고경영자(CEO)를 배출해 낼 것”이라고 밝혔다.

와우 포럼은 롯데그룹이 여성 인재 육성을 위해 지난 2012년 처음 개설됐다. 신 회장은 바쁜 일정 중에도 매년 와우 포럼에는 참석해 여성인재 육성에 대한 남다른 관심을 내비쳤다. 여성 공채비율 40% 유지, 전계열사 유연근무제 도입 같은 롯데그룹의 혁신적인 여성 인사정책은 신 회장의 굳은 의지에서 비롯된다.

롯데그룹은 지난 2005년만 해도 공채 가운데 여성 비율이 5%에 불과했지만 매년 꾸준히 늘려 현재는 절반에 가까운 40%를 여성으로 뽑고 있다. 이 덕에 여성 간부 사원 비율도 11%까지 확대됐다. 수석급 여성 인재들의 리더십과 조직 안팎 네트워크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여성인재 멘토링 제도를 운용해 여성인력 고급화를 이끌고 있다.


늘어나는 여성 직원 수만큼 아이를 키우는 여성을 위한 정책도 국내 주요 기업 중 가장 앞서나간다는 평가를 받는다. 롯데그룹은 여성들이 일과 육아를 성공적으로 병행할 수 있도록 출산 전부터 업무 복귀에 이르는 과정마다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

관련기사



2012년부터는 자동 육아휴직제도를 도입해 여성 직원들은 눈치 보지 않고 휴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출산 이후 복귀를 앞둔 직원에게는 자체 제작한 워킹맘 자기계발서를 제공하고 집합 교육과 리마인드 교육 등 단계별 프로그램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롯데백화점의 경우 ‘백화점 라이프사이클 교육’이라는 자체 교육과정도 만들었다.

모든 그룹 계열사는 아이를 키우며 회사에 다니는 직원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지난해 말부터 유연근무제를 시행 중이다. 출근은 오전 8시부터, 퇴근은 오후 5시부터 각각 30분 단위로 구분돼 원하는 시간을 자신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아침에 아이를 맡기거나 오후에 일찍 아이를 데려오기 위한 조치다. 또 매주 수요일을 일찍 퇴근하는 ‘가족사랑의 날’로 정하고 퇴근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컴퓨터 화면에 띄워 정시 퇴근을 유도하고 있다. 지난해 말 7곳에서 올해 상반기 15곳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나는 직장 어린이집도 대표적인 여성 친화 정책으로 꼽힌다.

롯데그룹은 또 존중하고 배려하는 기업 분위기 정착을 위해 건전한 회식문화와 정시퇴근 등 다양한 주제의 포스터를 매달 제작해 전 사무실에 붙이고 있으며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기업문화를 조성하고자 기업문화개선위원회를 출범시켜 계열사 자율경영 확대와 보고·회의 최소화 등을 실천하고 있다.

/임진혁기자 liberal@sed.co.kr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