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 송도, 도시계획 수시 변경에 난개발 우려

부채 줄이기 위해 토지 매각하며

사업성 높이려 잇단 계획 변경

일관성 있는 도시개발 어려워져

인천시가 부채를 줄이기 위해 송도국제도시 내 땅을 매각하면서 수시로 도시계획을 변경해 ‘난개발’이 우려되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최근 송도국제도시 8공구 내 주상복합용지 M1블록(7만9,305㎡)을 M1-1(4만9,046㎡)과 M1-2(3만259㎡)로 쪼개는 것을 골자로 하는 실시계획 변경을 승인했다고 3일 밝혔다.


현재 인천경제청 소유인 M1블록은 시가 부채 감축 등을 위해 내다 팔려다가 실패한 땅인 인근 공동주택용지 A5(6만8,619㎡)·A6(5만5,277㎡)블록과 맞바꾸기로 한 곳이다.

시는 과거 인천경제청으로부터 넘겨받은 A5·A6블록이 5층 층수 제한 등으로 사업성이 좋지 않아 매각이 어렵게 되자 M1블록과 교환하기 위한 절차를 밟았다. 인천경제청은 땅 바꾸기에 앞서 M1블록의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필지를 둘로 나눈 것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매각하려는 땅이 너무 커 부지를 매입하려는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아 조금씩 나눠 개발할 수 있도록 마련한 고육지책”이라고 설명했다.


시가 송도 땅을 팔기 위해 도시계획을 변경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관련기사



시는 토지 매각에 실패해 다시 인천경제청에 돌려줄 예정인 A5·A6블록의 경우 사업성을 높이려고 가구 수를 각각 432가구에서 650가구로, 282가구에서 530가구로 늘려줬다.

하지만 땅이 팔리지 않자 이를 인천경제청에 다시 돌려주고 다른 땅을 받아 도시계획을 또 변경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하고 있다.

특히 시와 인천경제청은 A5·A6블록을 비롯해 송도 6·8공구 내 아파트용지에 계획했던 가구 수를 무리하게 늘렸다가 학교 등 기반시설 부족 문제를 초래하기도 했다. 송도에 땅을 소유하고 있는 인천도시공사 등도 사업성을 높이려고 계획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건설업체의 사업성 논리에 따라 계획 변경이 반복되면 일관성 있는 도시개발 자체가 어려워진다”고 우려했다.

한편 인천시가 토지리턴(환매)을 받은 뒤 채무보증을 한 4,600억원 규모의 송도국제도시 땅이 다시 팔릴 전망이다. 인천시는 이르면 이달 중 센토피아송담하우징과 송도 8공구 공동주택용지 A1블록(3,100가구)에 대한 매매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송담하우징은 전체 토지매각대금 4,620억원 가운데 230억원을 계약금으로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