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약해지는 정책 뿌리, 기재부 “이대론 안 된다” 조직문화 쇄신 추진

세종 이전 후 ‘국-과장-사·주무관’ 의사소통 줄어

‘노하우’ 전수 안 돼 정책 역량 점점 저하 위기

도제식 교육 강화하고 연구기관과 포럼 정례화





정부세종청사 전경./서울경제DB정부세종청사 전경./서울경제DB


국가 경제 정책 전반을 관할하는 기획재정부가 화상회의를 늘리고 전문 연구기관과 정례 회의를 개최하는 등 젊은 직원들의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을 추진한다.


기획재정부는 4일 업무 효율화와 직원 역량 강화를 목표로 ‘조직문화 개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기재부가 조직문화 쇄신에 나선 이유는 부처가 세종시로 이전한 후 직원들이 간부인 실·국장은 물론 각 분야 전문가와 접촉이 줄어들면서 현장 직원들의 정책역량이 떨어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국장과 과장들이 서울로 자주 출장을 가면서 실무를 익혀야 할 사무관·주무관 등 후배들에게 업무를 지도하는 시간마저 뺏기고 있다는 것이다. 기재부 내에서는 실무 직원이 작성한 보고서의 질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위기감마저 불거지고 있다.

관련기사



기재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월까지 서울과 세종에 화상회의 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실·국장과 직원, 민간전문가와 직원들의 소통을 늘릴 방침이다. 간부가 직원들의 업무역량을 책임지는 소위 ‘도제식 교육’도 강화한다. 국·과장들은 서울 출장을 최소화하고 직원들의 보고서 작성 지도에 집중하기로 했다. 직원들이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국책 연구기관 전문가들과 토론할 수 있게 정례 포럼도 열 계획이다. 기재부 내에서 직원들 간 경제·사회 현안을 공부하는 세미나 운영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 화상회의 이용실적을 내부 성과평가에 반영하고 업무 효율화와 직원 역량 강화 성과가 우수한 실·국을 선정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세종=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