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금호유화, 여수 열병합발전소 증설...숙원 이룬 박찬구 회장

2012년부터 4,300억 투입해

증기·전기 생산규모 2배 확대

화학전문그룹 도약 발판 마련

김성채(왼쪽 네번째부터) 금호석유화학 사장과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 주철현 여수시장 등이 지난 5일 오후 전남 여수산업단지 내 열병합발전소 ‘여수제2에너지’ 증설 준공식에서 테이프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호석유화학김성채(왼쪽 네번째부터) 금호석유화학 사장과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 주철현 여수시장 등이 지난 5일 오후 전남 여수산업단지 내 열병합발전소 ‘여수제2에너지’ 증설 준공식에서 테이프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호석유화학


계열분리를 통해 그룹 출범 첫해를 맞은 금호석유화학이 숙원사업이던 여수 열병합발전소 증설을 마무리했다. 이로써 몸집을 불리고 있는 인근 계열사들이 원활하게 증기를 공급받고 전기 판매 수익까지 생겨 화학전문그룹으로 발돋움하는 든든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금호석유화학은 지난 5일 전남 여수산업단지 내 열병합발전소 ‘여수제2에너지’ 증설이 완료됐다고 6일 밝혔다. 금호석유화학그룹은 여수제2에너지 증설을 최우선순위 사업으로 삼고 2012년부터 4년간 4,300억원을 투입했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도 준공식 기념사에서 “여수제2에너지는 화학전문그룹으로 성장하는 중요한 포석”이라고 말할 정도로 이번 사업에 큰 기대를 걸었다.

이번 증설로 시간당 400톤의 증기를 만드는 보일러 2기와 145㎿ 규모 발전기가 추가됐다. 이로써 전체 생산규모는 기존 시설의 두 배가량인 시간당 증기 1,710톤, 전기 300㎿로 확대됐다.


금호석유화학의 한 관계자는 “증설을 했거나 진행 중인 금호폴리켐과 금호피앤비화학·금호미쓰이화학 등 여수 지역 계열사 공장에 증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여수제2에너지는 환경을 고려해 설계됐다. 연료의 30%는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는 타이어고형연료(TDF)와 바이오매스를 쓴다. 바이오매스는 탄소 배출이 전혀 없다. 탈질·탈황설비를 설치해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도 최소화했다. 공기냉각기 방식으로 해양온배수도 없다.

금호석유화학은 여수제2에너지 증설로 연간 매출액이 2,000억원 이상 많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룹 내 화학계열사와 인근 화학공장에 증기를 공급하고 전기는 전력거래소에 판매한다. TDF와 바이오매스로 생산한 전기는 신재생 공급인증서(REC)를 받아 REC 거래시장에서 부가 수익도 낼 수 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