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당 섭취는 비만과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을 유발한다. 적정량 이상의 당류를 섭취한 사람의 비만과 고혈압 발생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각각 39%, 66% 높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문제는 단맛의 유혹이 견디기 힘들 만큼 강렬하다는 점이다. 최근의 ‘쿡방’ 열풍은 그나마 지니고 있던 최소한의 경계심마저 허물어뜨렸다. 당뇨병 환자가 2010년 2,019만명에서 지난해 2,515만명으로 24%나 급증한 이유다. 더 큰 문제는 미래를 책임질 청소년들의 설탕 섭취가 급증하면서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점이다. 2013년 전국 초중고등학생의 비만율은 15.3%까지 올라갔다.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액이 지금은 6조7,695억원이지만 앞으로 얼마나 더 늘어날지 모르게 생겼다.
과도한 설탕 섭취를 방치한다면 우리 사회는 만성질환과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에 허덕일 게 뻔하다. 가뜩이나 부담스러운 건강보험 비용이 더 불어나 우리 경제를 짓누를지 모른다. 미래의 불행을 막기 위해서라도 우리 사회를 설탕 범벅으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정부 계획대로 대국민 캠페인과 정보공개 등으로 과당 섭취를 해소할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도 대비해야 한다. 프랑스와 멕시코 등에서 도입한 ‘설탕세’나 ‘소다세’를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학교 안뿐 아니라 학교 부근에도 ‘슈거프리존’을 설치하는 것을 고려해봄 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