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중국 성장률 악화 뒤에 숨은 '부채 리스크'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노무라증권은 올 1·4분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6.0%로 둔화되고 2·4분기부터는 5%대로 주저앉을 것으로 봤다. 소시에테제네랄도 1·4분기에 6.2%를 찍고 2·4분기에 5%대로 추락할 것으로 점쳤다. 바클레이스와 씨티그룹의 분석 역시 4·4분기에 6.0% 턱걸이를 예상했다. 6.5~7.0%로 낮춘 중국 정부의 목표치보다 부정적인 전망 일색이다.


이런 걱정들이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지만 최근에는 그 강도가 세지고 있다. 특히 연말로 갈수록 좋아지기는커녕 어두워지는 추세다. 벌써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등 3대 신용평가사는 중국 정부와 기업의 부채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내리거나 우려를 표명할 정도다. 비관적인 시선이 늘고 있는 것은 계속되는 성장 둔화와 그 뒤에 도사리고 있는 ‘부채 리스크’ 때문이다. 실제 중국의 부실채권은 위험 수위다.

관련기사



최근 2년 사이 은행권의 부실채권 규모가 2배나 급증했다. 2월 현재 1조4,000억위안에 달하고 부실채권 비중도 1.83%로 높아진 상태다. 민간부채는 이미 GDP의 두 배를 넘어섰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금융기관을 제외한 민간부채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21조5,000억달러로 GDP 대비 205%에 이른다. 이는 거품 붕괴 직전인 1989년의 일본(200%)보다 높다고 한다. 공식 통계가 이 정도인데 ‘그림자 금융’을 생각하면 이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일 수 있다.

부채 리스크가 경제 경착륙이나 금융위기를 촉발하리라는 이른바 ‘민스키 모멘트’가 앞으로 5년 안에 중국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는 이유다. 사태의 심각성을 감지한 중국 정부가 부채 리스크 해소를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고 한다. 적은 해외부채 규모 등을 들어 중국 경제를 낙관하는 견해도 많다. 그렇더라도 최악의 상황을 포함한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