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오세훈, 차기 유력주자로...당권 도전 전망도

[총선 이후 차기 대권주자 앞날은]

친박-비박 모두 '우호' 평가

당선 땐 대권후보 지지율 급등





‘정치 1번지’인 서울 종로에서 명예회복을 노리는 오세훈 새누리당 후보는 이번 총선 출마를 통해 여권의 차기 대권 주자 입지를 가장 공고히 다졌다. 이번 총선 최고의 수혜자라는 해석도 나온다.

지난 2011년 서울시 무상급식 파동으로 서울시장직에서 물러난 뒤 절치부심해온 오세훈 후보는 이번 총선을 통해 분위기 쇄신에 성공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공천 과정에서 3선의 종로 토박이 박진 전 의원을 꺾은 데 이어 본선 무대에서도 야당 중진인 정세균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접전을 벌이고 있다. 특히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젊고 유능한 차기 지도자’ 이미지를 굳히면서 당의 유력 차기 주자 반열에 올라섰다는 평이다.


총선을 거치면서 오세훈 후보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선후보 지지율 2~3위권으로 치고 올라왔다. 여권 주자들 중에서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제치고 선두를 달리는 모습이다. 이번 총선에서 승리한다면 상승세는 더욱 강해질 수 있다. 야당 중진인 정세균 후보를 꺾으면 오세훈 후보의 ‘본선 경쟁력’이 확실히 증명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관련기사



오세훈 후보는 당내 권력구조 상으로도 친박-비박계 어느 한쪽에 치우쳐 있지 않다는 강점이 있다. 뚜렷한 차기 주자가 없는 친박계가 오 후보를 지원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는가 하면 오 후보가 ‘혁신’을 내세우면서 독자 세력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오세훈 후보가 현재 뚜렷한 노선을 정하지 않고 있는 것도 총선 결과에 따라 당내 역학구조가 크게 바뀔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오세훈 후보의 주가는 이번 총선 결과와 관계없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김무성 대표가 총선 후 대표직에서 물러날 예정이고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는 대구에서 열세에 몰려 있는 점 등을 감안하면 오 후보를 견제할 경쟁 그룹도 뚜렷하지 않다. 여기에 정치적인 상징성이 큰 ‘종로 당선자’라는 날개까지 단다면 당내 경쟁에서 단번에 우세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12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오세훈 후보로서는 양손에 떡을 쥐고 고를 수 있는 입장”이라며 “친박에 우호적인 대선 후보군이 될 수도 있고 ‘혁신의 기수’를 내세워 당내 개혁을 주도할 수도 있는 캐릭터”라고 설명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