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유일호 부총리 "올 성장률 3.1% 달성 위해 추경도 가능"

뉴욕 IR서 IMF 전망치보다 높게 제시

"대외여건 악화땐 금리인하 등도 추진"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팔래스호텔에서 해외투자가, 글로벌 금융기관 이코노미스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한국경제설명회에서 브루스 캐스먼 JP모건체이스 수석 이코노미스트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팔래스호텔에서 해외투자가, 글로벌 금융기관 이코노미스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한국경제설명회에서 브루스 캐스먼 JP모건체이스 수석 이코노미스트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2.7%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지만 월가를 찾은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현지시간) 정부의 경제성장률 목표인 3.1%를 달성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또 경기부양을 위해 기준금리 인하는 물론 추가경정예산 편성까지 가능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유 경제부총리는 이날 미국 뉴욕에서 진행한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로서는 정부지출 수준이 경제성장률 목표인 3.1%를 달성하기에 충분하다”며 “유럽연합(EU)과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지속하고 중국의 경기 둔화가 심화된다면 경기부양책을 확대하거나 정책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IMF가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4%에서 3.2%로, 한국은 2.9%에서 2.7%로 하향 조정했지만 현재로서는 성장률 목표를 수정할 생각이 없다는 얘기다. 특히 유 부총리는 대외 변수 악화로 한국 경제가 악화될 경우 기준금리 인하는 물론 추경 편성을 통한 재정 확대 등으로 3.1% 성장이라는 정부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유 부총리는 “현재 1.5% 수준인 한국의 기준금리가 다른 국가에 비하면 높은 수준이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도 37.9%로 대다수 선진국보다 낮다”며 “우리는 두 가지 수단을 (모두) 사용할 여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필요하다면 추경 편성을 할 준비가 돼 있지만 지금으로서는 부채를 더 늘릴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정부가 경기의 추가 하락을 막기 위해 한국은행과 정책 공조를 통해 올해 하반기 0.25%포인트씩 두 차례 정도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추경의 경우 편성 여건이 엄격한데다 여야의 동의를 얻어 국회를 통과해야 한다는 점에서 경기가 급랭할 경우 사용할 마지막 카드로 남겨 놓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유 부총리는 미국 뉴욕 롯데 팰리스호텔에서 해외 주요 투자가 등 200여명을 대상으로 열린 한국 경제 설명회(IR)에서도 올해 3%대 성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투자·수출 활성화 대책과 함께 구조개혁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2월에 발표한 경기 보완대책 효과에 힘입어 생산·수출·소비심리 등이 연초 위축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당분간 이런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세계경기 회복 지연, 저유가 지속, 높은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등 글로벌 요인의 영향을 피해가기는 어렵다”며 “적극적인 거시정책으로 성장 동력을 유지하는 한편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경기 회복을 이끌고 투자·소비 촉진을 위해 세제·금융 인센티브를 주겠다”고 강조했다.

외환시장에 대해서는 원화가 안정적이라고 말하기에는 이른 감이 있지만 2~3월보다 변동성이 줄어드는 등 상당히 잘 작동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유 부총리는 “외환시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선물환 포지션 등 기존 외환시장 규제를 유연하게 운용하겠다”고 밝혔다.

불황형 흑자로 불리는 한국의 무역수지 흑자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냈다. 유 부총리는 “조종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경기둔화 상황에 있는 우리로서는 나쁜 신호”라고 말했다. 국제유가에 대해서는 “올해 배럴당 40~50달러 수준이라면 관리 가능하지만 배럴당 50달러를 넘어선다면 한국 경제에 좋지 않다”는 견해를 밝혔다.

/뉴욕=최형욱특파원 세종=구경우기자 choihuk@sedaily.com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