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안철수 '녹색돌풍' 주도...대선가도 안착 성공

[주요 대선주자 손익계산서 들여다보니]





4·13 총선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대권주자 중 유일하게 활짝 웃게 됐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과반 의석 확보 실패에, 문재인 전 대표는 호남 참패에 대한 책임론을 떠안게 된 것과 대조적이다. 안 대표는 3당 체제 실험에 성공하며 총선 이후 다른 주자보다 훨씬 쉽게 대권 가도에 안착할 것으로 전망된다.


안 대표는 4·13 총선 레이스 초반에는 개인의 생사도 장담할 수 없었다. 그러나 선거 막판 호남을 중심으로 ‘녹색돌풍’을 일으키며 선거 판도를 바꾸는 데 성공했다. 모두 혼자 힘으로 한 일이다. 더민주 탈당 명분으로 내걸었던 ‘3당 체제 확립’이라는 목표를 향해 흔들림 없이 달리며 ‘강철수’라는 이미지를 유권자에게 각인시켰다.

안 대표의 저력은 국민의당 정당 득표율을 끌어올리는 원동력이 됐다. 당초 국민의당의 비례대표 안정권은 6번까지로 평가됐으나 13석 정도의 비례대표 의석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안 대표가 이끄는 국민의당이 지역구 선거에서 호남에서만 승리를 거뒀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더민주와 비슷한 수준의 정당득표율을 보였지만 호남을 제외하고 대선의 백병전에서 선봉에 설 지역구 국회의원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선거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 핵심지지층과 감정의 골이 깊어진 것도 안 대표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관련기사



안 대표는 ‘호남자민련’의 프레임을 극복하기 위한 중도 확장 과정에서 탈(脫)호남 정책을 펼 것으로 보이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천정배 공동대표, 박지원 의원 등 호남 맹주의 당선이 확실시면서 안 대표의 지역적·이념적 확장정책은 일정 부분 제한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국민의당이 호남 압승과 기대치 이상의 비례대표 의석을 받아들며 더민주와의 통합론은 당분간 흘러나오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당초 당대당 통합을 추진했다가 안 대표에 의해 제압당한 천 대표, 더민주와의 대통합을 주장하고 있는 박지원 의원 등이 총선 이후 더민주와 통합을 주장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지만 국민의당의 예상 밖 선전으로 명분을 잃게 됐다.

국민의당 돌풍의 주역인 안 대표는 총선 이후 치러질 당 대표 선거에 집착하지 않고 대권 주자로서 유권자와의 접촉을 늘리는 데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신 호남 출신 의원들과의 당권 경쟁이 불가피한 만큼 안 대표의 사람을 앉히는 방법으로 당권 장악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