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우리나라 창업 63%가 '생계형'

현대경제硏 보고서

"혁신형 창업 비중 21%로 美·핀란드 등 절반도 안돼"

한국에서 새로 생겨나는 기업의 63%가 생계를 위한 창업인 것으로 조사됐다. 새로운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통해 사업을 시작하는 ‘혁신형’ 창업은 21%로 미국이나 핀란드 등 주요국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4일 ‘벤처 활성화 지원 정책의 실효성 제고가 필요하다’는 보고서에서 “한국의 창업 목적은 생계형이 63%로 미국(26%), 이스라엘(13%)과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높았다”고 밝혔다.


벤처 생태계 발전에 주춧돌 역할을 하는 기회추구형 창업의 비중은 크게 낮았다. 기회추구형 창업이란 새로운 기술이나 아이디어로 성공의 기회를 만들어 창업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기회형 창업 비중은 21%로 미국(54%), 이스라엘(58%), 핀란드(66%), 스웨덴(56%) 등 주요국과 비교하면 매우 낮았다.

관련기사



이렇다 보니 벤처기업이 투자를 받는 비중이나 규모도 다른 나라에 비해 부족했다. 한국의 벤처캐피털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0.06% 수준으로 스웨덴(0.66%), 이스라엘(0.38%), 미국(0.28%)보다 낮았다. 또 벤처투자를 받는 기업의 비중도 0.139%로 스웨덴(1.427%), 핀란드(1.378%), 이스라엘(0.386%)과 비교해 크게 떨어졌다.

벤처기업이 중간·성장 단계에서 투자를 받는 경우 역시 다른 나라보다 부족했다. 한국의 벤처투자는 업력이 3년 미만인 초기 기업에 투자하는 경우가 30.8%였고 중간·성장 단계인 3∼7년은 24.8%뿐이었다. 반면 후반 단계인 7년 이상의 벤처기업에는 전체 벤처투자의 44.4%가 투자되고 있다. 반면 이스라엘(68.4%)이나 스웨덴(60.9%), 핀란드(57.3%), 미국(49.6%) 등은 3∼7년차 기업들에 투자하는 비중이 컸다.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을 통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벤처기업도 많지 않았다. 우리나라 벤처기업이 IPO까지 걸리는 시간은 11.9년으로 미국(7.5년)보다 4년 넘게 더 걸렸다. 또 M&A를 통한 회수 비중도 미국의 3.6% 수준에 불과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