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3월 청년실업률 11.8%] '여소야대 리스크' 겹쳐...두자릿수 청년실업 만성화 우려



# 지난 2013년 서울에서 대학을 졸업한 임유진(26·가명)씨는 고향 경남으로 내려와 3년째 취업 준비를 하고 있다. 900점이 넘는 토익 점수와 여러 자격증, 인턴 경험 덕분에 지역 중소기업에는 몇 번 합격했지만 출근은 하지 않았다. 연봉과 복지가 원하는 수준보다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임씨가 원하는 직장은 월 300만원 이상 받는 대기업이나 고용이 그나마 안정적인 공기업. 임 씨는 “초봉이 월 150만~200만원 수준인 중기의 경우 결혼은 고사하고 고용안정성도 떨어진다”며 “28세까지 대기업과 공기업 취업이 안 되면 공무원 시험에 응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청년실업률이 2월(12.5%)에 이어 3월(11.8%)에도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장 큰 원인은 ‘일자리 미스매치’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김광석 한양대 국제대학원 겸임교수는 “구직자는 대기업 등 안정적인 직장을 원하는 반면 중소기업에서는 구인난이 심각하다”며 “청년취업난 제1원인은 일자리 미스매치”라고 분석했다.


실제 한국은행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중 중기 인력BSI(제조업)는 △2014년 88 △2015년 92 △2016년 92(3월까지 평균)를 기록하는 등 기준선인 100을 밑돌고 있다. 지표는 한은이 중소기업에 던진 “현재 인력이 부족·적정·충분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지수화한 것이다. 100을 밑돌면 인력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특히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으로 지방 구직자들의 눈높이도 높아지며 미스매치 현상은 심화하고 있다. 임씨는 “지역에도 공기업 등 좋은 직장이 많이 생기면서 지방 구직자들의 눈높이도 높아지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관련기사



이런 상황에서 4·13 총선으로 인한 ‘여소야대’ 구도는 청년고용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 교수는 “규제 완화를 통해 기업의 투자가 집행돼야 고용시장도 살아난다”며 “향후 야당의 입장을 봐야겠지만 여당보다는 규제 완화에 소극적인 면이 있어 청년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청년실업률 두자릿수 현상이 만성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2014년 중 청년실업률이 두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두 달(2월·4월)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넉 달(2월·3월·4월·6월)로 늘어났고 올해도 석 달 중 두 달(2월·3월)간 실업률이 두자릿수를 기록했다.

/세종=이태규·구경우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