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임신중 구운 고기, 저체중아 우려 높아져… 원인 알고보니?

임신중 구운 고기, 저체중아 우려 높아져… 원인 알고보니?임신중 구운 고기, 저체중아 우려 높아져… 원인 알고보니?




임신한 여성이 불에 굽거나 기름에 튀긴 고기를 많이 섭취할 경우 저체중아를 낳을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됐다.


18일 인하대 사회의학교실 임종한 교수팀은 서울대·이화여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국내 임신부 778명을 추적조사한 결과 임신 중 고기 섭취가 출산 후 아이의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06년부터 2011년에 걸쳐 임신 12~28주 사이에 굽거나 튀긴 고기를 전혀 먹지 않은 임신부와 하루 3차례 이상 먹은 임신부가 낳은 아이의 체중 차이를 연구해 왔다.

임신 기간 중 튀김, 훈제 등의 고기를 먹는 그룹을 형태, 양, 빈도에 따라 9단계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이들과 고기를 아예 먹지 않은 그룹이 출산한 아이의 몸무게를 비교한 결과, 1단계 그룹 간 아이 체중의 차이는 17.48g으로 확인됐다.


이는 1단계가 올라갈수록 아이의 몸무게가 평균 17.48g 감소한 것으로, 구운 고기를 하루 3차례 이상 섭취한 임신부의 아이는 구운 고기를 전혀 먹지 않은 임신부의 아이에 비해 최대 174g 가볍게 태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고온에서 불판, 불꽃, 기름에 고기가 직접 닿을 때 발생하는 발암성 유해물질인 PAHs(다환 방향족 탄화수소)가 주요 원인이라고 발표했다.

PAHs는 탄수화물·단백질 등이 불완전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100가지 이상의 화학물질로, 불에 직접 구운 고기를 많이 먹거나 간접흡연에 자주 노출된 아이의 PAHs 농도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임종한 교수는 “고기를 직화하거나 튀길 때 나오는 벤조피렌 등의 유해물질이 임신부의 몸 속에서 염증을 일으키면서 태반 혈관에 손상을 입히거나 직접 태아에게 흘러들어 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하며 “이런 경우 태아가 저체중으로 태어나거나 키, 머리 둘레가 줄어드는 등 미숙아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임 교수는 “임신 기간 동안 필수 영양소인 단백질 섭취를 피할 수 없는 만큼 직화 조리 방식 대신 삶거나 찐 고기를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사진=뉴스화면 캡처]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