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제조업 경기 2분기 소폭 반등”

산업硏 496개사 BSI 조사

매출·설비투자 지수 100 회복

조선·섬유는 여전히 공급과잉

제조업 경기가 2·4분기에는 소폭 반등할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다만 조선업·섬유 등 공급과잉 업종은 여전히 전망이 어두운데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가 여전해 전체적인 분위기가 반전되기까지는 상당 기간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산업연구원(KIET)은 국내 496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4분기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매출 BSI와 설비투자 BSI 전망이 각각 3분기, 4분기 만에 100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BSI는 100 이상이면 전 분기보다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더 우세하다는 의미다.

2·4분기 매출전망을 살펴보면 내수와 수출 지수가 각각 98, 99를 기록해 1·4분기보다 7포인트, 6포인트씩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황 지수도 95로 1·4분기 전망 수치인 91보다 4포인트 올랐다.


분야별로는 경공업을 제외한 모든 분야의 매출 전망이 100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4분기 정보통신기술(ICT) 산업과 중화학공업의 지수는 각각 93, 89였다. 경공업은 1·4분기 94에서 2·4분기 98로 100에는 못 미쳤지만 소폭 상승했다.

관련기사



업종별 희비는 극명하게 엇갈렸다. 정밀기기의 매출전망은 121로 전 분기 대비 22포인트 껑충 뛰었고 화학(107), 전자기계(105)도 100선을 회복했다. 반면 공급과잉을 겪고 있는 조선·기타운송(86)과 기계장비(96), 섬유(96), 철강금속(97)은 여전히 100을 밑돌았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전망 지수가 106으로 전 분기(91)보다 경기가 상당히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중소기업도 지난 분기 전망(91)에서 2·4분기 100으로 지수가 회복됐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