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36년만의 당대회...'나홀로 행사' 되나

대북제재로 국제사회 입지 축소

주요국 인사 초청동향 파악 안돼

대규모 행사 준비 징후도 안보여

다음달 초 북한에서 36년 만에 열릴 예정인 제7차 노동당대회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여파로 주요 외국 인사와 대규모 행사 없이 초라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19일 대북 소식통은 북한의 당대회 준비와 관련해 “현재까지 뚜렷한 당대회 초청 외교 동향이 파악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초 북한이 감행한 제4차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국제사회가 대북제재에 나서면서 북한의 외교적 입지가 축소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1980년에 열린 북한의 제6차 당대회에는 북한의 초청으로 118개국의 177개 대표단과 함께 리셴녠 중국 부주석, 그리쉰 러시아 정치국 위원, 로버트 무가베 짐바브웨 총리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고 북한은 이를 체제 선전에 활용했다.

관련기사



북한은 이달 들어 관영매체를 통해 당대회에 참가할 대표자를 선출할 시·군, 인민군, 도 단위 당대표회 개최 사실을 잇달아 공개하고 있다. 조선중앙방송은 이날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노동당 평안남도 대표회에서 제7차 당대회 대표자로 추대됐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과거 당대회에서 선보였던 아리랑 공연과 같은 대규모 행사 준비 동향은 아직 드러나지 않고 있다.

북한은 이번 당대회를 통해 김정은 집권기간의 성과와 미래 비전 등을 제시하고 당대회 이후에는 ‘성공적인 개최’를 선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당대회에서 내세울 만한 실질적인 경제성과는 거두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대북제재에 가로막힌 북한이 체계적인 투자 대신 ‘70일 전투’ 등 주민들의 단순 동원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한 정부 관계자는 “대외무역과 해외 외화벌이 여건의 악화로 북한 외화수입이 대폭 감소하면서 김정은 통치자금 및 당대회 자금조달에 차질이 예상된다”며 “북한 내부에서는 당대회 준비를 위한 동원 및 통제 강화로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