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은 세계 최고의 생산량과 기술력을 자랑하는 빅3 조선사마저 대규모 부실을 기록하며 위기를 맞고 있다. 정부는 더 이상 구조조정을 늦췄다가 모두가 회생불능에 빠지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조선업 구조조정에 고삐를 조일 태세다. 그러나 ‘일도양단’ 식 구조조정으로 그동안 쌓은 기술력과 경쟁력까지 잘라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특히 ‘비 올 때 우산’이 돼주는 정부 차원의 선박 발주 지원뿐 아니라 해외 수주에 필요한 선박금융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게 조선업계의 지적이다.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빅3는 지난해 총 8조5,000억여원 규모의 천문학적인 적자를 기록한 후 올해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돌입했다. 관건은 ‘대마’인 대우조선해양 처리 방안이다. 워낙 부실 규모가 큰 데다 매각도 여의치 않아 정부 구조조정의 최대 난제로 꼽히고 있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의 파산을 막기 위해 유상증자와 출자전환 등을 통해 총 4조2,000억원의 자금을 대우조선에 지원하기로 하고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대우조선은 유휴자산 매각과 인력감축 등을 통해 1조8,500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는 임시방편일 뿐 결국 새 주인을 찾아야 하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역시 해양플랜트에 따른 부실에 허덕이면서 자체 구조조정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현대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은 포스코·현대자동차 지분뿐만 아니라 자사주까지 매각해 유동성을 마련했다. 비핵심 자회사도 청산하기로 했다. 삼성중공업도 상시적인 희망퇴직을 통해 인력을 줄이고 경기도 화성 소재 공장과 건물과 사원 아파트까지 내다 팔면서 부실감축에 나섰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정부에서는 현대나 삼성이 대우조선해양을 떠안아 주기를 희망하는 분위기지만 제 코가 석 자인 상황에서 사실상 불가능한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중견 조선업체들은 앞서 구조조정이 시작됐지만 SPP조선을 제외하고는 끝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한진중공업은 지난 2014년 산업은행과 재무구조개선약정을 맺고 자산매각 등 자구노력을 벌였지만 지난해까지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다가 결국 올해 초 자율협약을 신청했다. 최근 채권단은 한진중공업에 1,400억원을 추가 지원하기로 하고 또 부산 영도조선소의 상선 부문은 축소 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STX조선해양도 대수술이 진행 중이다. 구조조정을 통해 탱커와 액화천연가스 주유터미널(LNGB)선 특화 중소조선사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다롄 조선소는 파산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해외 자회사들도 매각 추진 중이다. 성동조선해양은 삼성중공업과의 경영협력을 통한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 인력을 15% 감축했고 2,500억원어치 비핵심자산을 매각했다.
그러나 이 같은 조선업 구조조정에 대해서 회의적인 시각이 갈수록 짙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수주 가뭄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산업은행 등 공적금융기관을 통해 수조원대의 자금을 쏟아붓고 있지만 생산 능력에 비해 발주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결국 빅3를 1~2곳으로 재편하거나 각 조선소들이 과거 일본 조선소와 같이 도크를 줄여 생산량을 대폭 감소하는 쪽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홍성인 산업연구원 팀장은 “업황이 악화됐을 때 무더기 구조조정으로 조선 산업경쟁력을 잃은 일본의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