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식약처, 야구장 맥주보이 허용 '구단은 대환영'

한국야구위원회(KBO)와 10개 구단이 정부가 야구장 생맥주 이동판매원, 일명 ‘맥주 보이’를 전면 허용하기로 방침을 바꾼 것에 대해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KBO 관계자는 21일 “팬들이 불편을 겪지 않게 돼서 다행이다. 정부가 ‘맥주 보이’를 허용하기로 한 것을 전면 환영한다”고 전했다.


앞서 식품의약안전처는 ‘맥주 보이’가 식품위생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판단 아래 국세청과 논의를 거쳐 야구장에서 맥주의 이동식 판매를 규제하기로 하고 KBO를 통해 각 구단에 이러한 방침을 알렸다.

이에 야구장 먹을거리 중에서도 치맥(치킨+맥주)이 대세인 데다 우리보다 오랜 야구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과 일본에서도 ‘맥주 보이’가 야구 문화의 상징처럼 받아들여지는데, 지나친 규제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결국, 식약처는 ‘맥주 보이’ 사안을 전면 재검토한 끝에 “일반음식점 영업신고를 한 이가 제한된 야구장 내에서 입장객을 상대로 고객 편의를 위해 음식의 현장판매가 이뤄지므로 식품위생법상 허용 가능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입장을 변경했다.

관련기사



이에 국세청 역시 식품위생법상 영업허가를 받은 이가 세무서에 신고하면 주류판매면허를 자동으로 부여하는 주세법 규정을 고려, 식약처 판단을 근거로 ‘맥주 보이’를 허용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각 구단은 즉각 환영의 뜻을 표했다.

한 수도권 구단 관계자는 “‘맥주 보이’도 팬서비스의 일종이다. 구단 차원에서는 팬들에게 서비스 하나라도 더 드리고 싶은 마음인데, 정부가 팬들의 입장을 고려해서 ‘맥주 보이’를 허용하기로 방침을 바꾼 것은 다행”이라고 밝혔다.

한 지방 구단 관계자는 “‘맥주 보이’가 사실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맥주 보이’는 상당한 잠재력이 있다. 일본프로야구는 ‘비루걸(beer girl)’이 하나의 야구장 문화로 자리 잡았고, 매출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이번 결정으로 우리도 이런 문화를 만들 길이 열렸다”고 전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