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KAIST, 고성능 이산화탄소 흡착제 개발

KAIST는 21일 생명화학공학과 최민기 교수팀이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제올라이트와 아민 고분자를 기반으로 해 값싸고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효율적인 성능과 뛰어난 재생 안정성을 갖는다.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의 포집을 위한 흡착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나 제올라이트 기반 흡착제는 이산화탄소와 수분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수분을 우선적으로 흡착하는 한계를 갖고 있고 아민 고분자 기반 흡착제는 수분이 존재해도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흡착이 가능하지만 재생을 위해 130℃ 이상 열을 가했을 때 요소가 생성돼 심각한 비활성화를 겪는 문제가 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이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아민 고분자와 제올라이트의 장점을 모두 갖는 ‘아민-제올라이트 복합체’를 개발했다.

최 교수는 “기존 연구들은 이산화탄소 흡착 성능 향상에만 집중됐지만 이번 연구는 우수한 흡착 성능 뿐 아니라 재생 안정성을 비약적으로 상승시켰다”면서 “향후 값싸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제올라이트 기반의 흡착제로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에너지 및 환경 분야 학술지 ‘에너지&인바이러먼털 사이언스’ 3월 16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대덕=구본혁기자 nbgkoo@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