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정부, 북한 추가 도발 막기 위한 '총력전'

한미일 협의 이어 중국과 협의

외교부 "추가 도발 시 더 강력한 제재와 고립" 경고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이 19일 서울 외교부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진행하는 모습. /연합뉴스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이 19일 서울 외교부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진행하는 모습. /연합뉴스




최근 북한의 제5차 핵실험 준비 징후가 포착되자 정부가 북한의 추가도발을 막기 위한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21일 외교부에 따르면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22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회동한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에 대해 “지난달 31일 미국 워싱턴에서의 한중 정상회담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한반도 정세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북한의 추가도발 억제, 유엔 안보리 결의(2270호)의 충실한 이행 등을 포함해 북핵, 북한 문제와 관련한 전반적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는 이번 회동을 통해 중국에 북한의 추가도발을 막고 대북제재의 실효적 이행을 위한 지속적인 협력을 주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이번 회동은 최근 한미중, 미중 간 북핵 문제 협의에 이어 열린다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다. 지난 19일 서울에서 한일 외교차관 회담,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 한미 외교차관 협의회가 열렸다. 20일에는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조찬 회동과 한미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 조태용 청와대 국가안보실 제1차장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부장관간 한미 고위급 전력협의가 잇따라 개최됐다. 21일 중국 베이징에서는 미중 6자회담 수석대표인 성김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우다웨이 특별대표가 만났다.

조 대변인은 “정부는 북한이 지도부 결심에 따라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경고에도 추가 도발을 감행할 경우 더 강력한 제재와 고립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거듭 경고했다.

최근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북한의 5차 핵실험시 ‘방어 관련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 “일부 언론에서 해석하는 ‘군사 대응 조치’와는 다른 개념으로 알고 있다”며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경고, 핵실험 강행시 미국이 역내 동맹인 한국과 일본과 보다 강력한 방어조치를 취할 의지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