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49회 과학의 날·61회 정보통신의 날]'참치잡이 기술→포니車→스마트폰'…먹고사는 과학기술서 ICT 강국으로

한 눈에 보는 과학기술 50년 발전史



‘참치잡이 원양어업기술, 통일벼에서 포니 자동차를 지나 스마트폰까지….’

1945년 광복 이후 현재까지 한국 과학기술의 발전상을 정의하면 이렇다. 굶주림을 이기기 위한 과학기술에서 시작해 앞서 가는 선진국 기술을 따라잡았고 이제 선진국보다 더 먼저 과학기술을 선도해가고 있다. 과학자들이 흘린 땀과 열정이 있었기에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이라는 타이틀을 얻을 수 있었다. 박근혜 대통령도 21일 한국과학기술원(KIS)에서 열린 제49회 과학의 날과 61회 정보통신의 날 기념식 축사에서 원로 과학자들에게 “발전의 뿌리가 돼주셨다”며 감사를 표했다.

실제로 이들이 마련한 과학 기반 위에 국가 연구소 기업의 개발 연구가 뒤따르면서 과거 먹고 사는 데 직접 연관이 있는 과학기술에서부터 선진국을 앞서 나가는 기술로 발전할 수 있었다.


1950년대 굶주림을 해소해준 대표적인 과학기술은 참치잡이 기술이다. 6·25전쟁 이후 1950년대 후반까지 원양어업의 기술이 전혀 없었다. 이와 관련한 첫 시작은 바로 긴 줄에 여러 개의 낚기를 매단 어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당시 국립수산과학원을 중심으로 어구 개발에 집중한 결과 당시 선진국 대비 0%였던 기술 수준은 90%까지 늘었다.

관련기사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해준 과학기술에는 통일벼도 있다. 1960년대 쌀밥 구경하기 어려웠던 시절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하기 시작해 쌀 생산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하는 데 기여했다. 실제로 1977년 통일벼 개발로 1조3,892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유인했다는 게 미래창조과학부의 설명이다.

앞서 가는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본격적으로 추격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부터다. 현대자동차가 국내 최초의 고유모델 포니를 개발해 대량 생산 기반을 마련했다. 자동차 기술이 전혀 없어 외국 자동차 제조사의 부품을 조립하는 데 머물렀던 한국이 5대 자동차 강국으로 자리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였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86년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기업들이 힘을 합쳐 D램 메모리를 개발하면서 반도체 강국이라는 명성을 얻게 됐다. 1988년에는 삼성전자가 최초의 국산 아날로그 휴대폰을 개발하기도 했다. 미국 일본에 이어 세 번째 자체개발이다. 국내 이동통신시장이 활성화되는 데 기폭제 역할을 했다. 이후 28년간 지속적으로 소형화·경량화를 거쳐 스마트폰 갤럭시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을 향상한 것이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