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北서 7년 강제노역한 베네수엘라 시인

방북 중 편지에 北실상 언급했다

반동으로 몰려 20년 노동교화형

라메다씨 사연 뒤늦게 알려져

북한의 실상을 알린 편지로 7년간 강제노역한 베네수엘라 시인과 그에 대한 기사. /연합뉴스북한의 실상을 알린 편지로 7년간 강제노역한 베네수엘라 시인과 그에 대한 기사. /연합뉴스




열혈 공산주의자로 지난 1960년대 방북해 머물던 베네수엘라 시인이 가족에게 보낸 편지에 사실과 다른 북한의 실정을 언급하는 바람에 7년간이나 노동교화소에 수감된 사연이 뒤늦게 알려졌다. 특히 그는 고국으로 돌아온 뒤 이와 관련해 ‘슬픔에 젖은 여행객’이라는 시집을 내기도 했다.

지난 21일 베네수엘라 일간지 ‘라 보스’는 11일 시인이자 언론인인 알리 라메다가 북한에서 겪은 일화를 2개 면에 걸쳐 자세히 소개했다.


보도에 따르면 열혈 공산주의자였던 그는 1965년 북한의 초청으로 방북해 당시 김일성 주석의 강연 내용을 스페인어로 번역해 소개했고 아파트를 비롯해 기사가 딸린 차량까지 받는 등 특별대우를 받았다.

관련기사



그러나 그는 북한 당국이 편지를 검열한다는 사실을 모른 채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북한 주민들이 궁핍한 생활을 하는 등 북한이 자신이 생각했던 공산주의 국가가 아니라고 털어놓는 바람에 체포됐다.

라메다는 당시 미 중앙정보국(CIA)의 지령을 받고 침투한 공작원이라는 혐의로 노동교화형 20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1974년 9월 석방될 때까지 7년간 북한 사리원수용소에 수감돼 하루 12시간씩 강제노역을 했다.

차량 부품 조립 작업에 투입된 그는 강제노역의 고통을 잊기 위해 시를 짓고 암기했다. 석방돼 베네수엘라로 돌아온 뒤 당시 암기한 시를 묶어 ‘슬픔에 젖은 여행객’이라는 시집을 냈다.

신문은 1995년 11월 수도 카라카스에서 생을 마감한 라메다가 최고 지도자와 감히 다른 생각을 하다가 반동으로 간주돼 중형이 선고되는 비정상적인 사회를 몸소 체험했다고 전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