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벼랑 끝 해운업 민관 긴급회의> 양대선사 '동맹' 탈락 땐 부산항 물량 50% 사라져...위기 항만에도 불똥

홍콩 등으로 물동량 이동 가능성...지역경제 타격

부산항부산항




사상 최악의 침체에 빠진 해운업과 달리 항만업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리며 매년 꾸준한 수익을 내왔다. 지난해 DP월드가 운영하는 부산신항만이 매출액 2,014억원, 영업이익 584억원을 기록했고 한진해운신항만(부산)도 영업이익률이 30% 안팎에 달했다. 선박의 과잉공급과 상관없이 매년 처리하는 컨테이너 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자산 매각에 나설 때 가장 먼저 터미널 지분을 파는 이유도 좋은 상품인 만큼 금방 새 주인을 찾을 것이라는 믿음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국적선사가 세계 해운동맹(얼라이언스)에서 제외되는 등 국제 위상이 추락하면 부산 등 국내 항만도 동반 위기에 빠지게 된다. 지금은 동맹 선사의 근거지인 부산항을 거치도록 노선을 짜지만 한국 선사들이 동맹에서 빠지면 굳이 한국을 기항지로 삼을 이유가 사라지게 돼 항만의 대표 수입원인 화물환적(배를 갈아탐) 물량이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 화물 운반·관리에 따른 고용창출 효과가 크고 지역 경기와도 밀접하다는 점에서 항만의 위기는 해운업 못지않게 국가 경제에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이 글로벌 해운동맹 개편과 관련해 긴급회의를 소집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특히 환적은 일반 수출입 화물과 달리 내린 뒤 보관했다 다시 싣는 과정에서 양·하역 비용과 보관료 등이 생겨 알짜배기 수입 창구로 통한다. 부산항만의 경우 전체 물동량(1,943만TEU, TEU는 6m 컨테이너 1개) 가운데 환적 물량(51.87%)만 1,008만TEU에 이른다. 글로벌 해운사들이 부산항에 들어올 이유가 사라지면 이런 환적화물들은 싱가포르나 홍콩 등 주변 항구로 옮겨갈 가능성이 크다.

관련기사



그 결과 지역 경제도 치명타가 불가피하다. 해수부는 오는 2020년까지 부산항을 싱가포르에 이은 2대 환적 거점으로 만들어 1조5,000억원의 경제 파급 효과와 1만5,000여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이 모든 것이 무위로 돌아갈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내 항만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세계 해운동맹 체제 재편과정에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하루빨리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운업계의 오랜 불만 중 하나는 고용 파급 효과가 적다는 이유로 조선업계보다 홀대를 받는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해운업과 관계된 항만 등 배후산업을 고려하면 고용과 지역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은 예상보다 클 수 있다.

국적선사가 없더라도 항만 스스로 경쟁력을 키우는 방법도 있다. 환적화물 인센티브 제도를 개편하거나 육상 운송비를 지원해 신규 환적화물을 유치하고 기존 환적화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식이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대책일 뿐 국적선사의 위상을 유지하는 것만큼 좋은 해법은 없다는 게 중론이다. /임진혁기자 세종=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