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채권

무디스의 경고"국책은행 부실기업 지원 한계 봉착했다" ..

부실채권 증가속도, 증자속도보다 가팔라

은행권, 해운업등 한계기업 대출, 규모 비해 위험성 높아"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국내 은행권이 보유한 한계기업 대출에 대해 규모는 예전에 비해 줄어들었지만 위험도는 여전히 높다고 지적했다.

소피아 리 무디스 부사장은 22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신용위험이 큰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건설·조선·해운·철강 등의 산업에 대한 국내 8개 대형은행의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비중은 총 여신 규모의 11%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중 최근 구조조정 대상이 된 해운업은 기업들이 금융권 대출 대신 회사채를 발행하면서 은행권의 대출 규모는 줄었지만 그 위험도는 규모에 비해 매우 크다는 지적이다.

무디스는 이들 5개 산업의 전망이 부정적인 데다 경제성장률도 저하되면서 국내 은행권에 대한 신용등급 전망을 지난주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변경한 바 있다. 리 부사장은 “은행들의 신용평가 과정에서도 조선·해운업 익스포저가 높은 은행 순으로 낮은 평가를 내렸다”며 “유가 등 변동성이 커지면서 불확실성이 확대돼 조선·해운은 전 세계적으로 과잉생산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기업 구조조정이 생각보다 진척이 더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리 부사장은 이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들이 한계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부실채권을 많이 떠안음에 따라 자본 건전성이 최근 4~5년 사이 급속히 취약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책은행이 떠안은 부실채권의 증가 속도가 증자 속도보다 빠르다”며 “국책은행들이 출자전환을 통해 한계기업을 지원하는 것도 자본 건전성 문제로 인해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리 부사장은 아울러 ”정부의 의지와 무관하게 국책은행의 지원 수단이 줄어들면서 당국이 유암코나 기타 민간 주도 구조조정 등 다른 방안을 모색하는 게 아닌가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다만 이 같은 한계기업 부실 여신 문제가 금융권의 시스템리스크로 확산될 가능성은 적다고 리 부사장은 말했다. 은행권 기업대출의 신용도는 부정적이지만 시스템리스크 위험이 감지됐다면 신용등급전망의 하향을 넘어 바로 신용등급 강등을 실시했을 것이라는 게 무디스의 설명이다.

한편 무디스는 이날 국내 커버드본드(이중상환청구권부채권) 시장에 대해 위험도가 예전보다 낮아졌다며 우호적으로 평가했다. 조 웡 무디스 선임 애널리스트는 “한국의 커버드본드 시장이 예전보다 성숙했고 관련 법제가 긍정·우호적”이라며 “지난 2009년 국민은행이 최초발행하고 주택금융공사도 1~2년 주기로 계속 발행하는 커버드본드가 아태지역 커버드본드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점도 감안됐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