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수요자 맞춤형으로 대학 창업 지원

정부·대학 등 공급자 위주로 제공됐던 창업지원 서비스가 대학(원)생·졸업자 등 수요자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으로 전환된다.

교육부와 중소기업청은 27일 이런 ‘대학 창업지원 체계화’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우선 대학 창업지원 모델을 정립한다. 창업지원 경험이 부족한 대학들이 손쉽게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대학 창업지원모델은 대상을 아이디어 창업 중심의 대학·재학생, 고급 기술창업을 추구하는 대학원생·졸업생 등으로 나눠 투 트랙으로 작성된다.

관련기사



올해 이 모델을 전체 창업선도대학(34개)에 보급해 대학 창업지원서비스의 상향 평준화를 유도하고 내년에는 산학협력 선도대학 등을 중심으로 확산해나갈 계획이다. 교육부는 대학구조개혁평가 시 창·취업 관련 배점을 확대하고 창업지원모델을 도입한 대학을 우대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또 정부는 창업에 뜻을 두고 있는 예비 창업자가 대학이 제공하는 창업지원제도 및 프로그램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정보전달 통로도 개선할 계획이다.

오프라인의 경우 예비창업자나 창업 초기기업 등이 대학의 지원을 희망하면 창업과 관련한 상담과 멘토링 등을 연계 지원해주는 ‘(가칭)원스톱 창업상담창구’를 설치한다. 온라인에서는 대학이 운영 중인 창업지원 우수 홈페이지를 벤치마킹해 학생 창업활동 경력관리 모듈 등을 포함하는 ‘대학 창업지원 포털’을 마련할 계획이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