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뉴욕증시]연준 “점진적 금리인상”에도 애플 부진에 혼조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가 점진적인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재확인했지만 애플 실적 부진에 따른 기술주 하락 여파로 혼조세를 나타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1.23포인트(0.28%) 상승한 1만8,041.5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3.45포인트(0.16%) 오른 2,095.15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25.14포인트(0.51%) 낮은 4,863.14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 증시는 장 초반부터 하락했지만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서 발표 이후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장중 상승세로 전환했다. 연준은 이날 FOMC 성명서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0.25~0.5%로 동결했다. 관심을 모았던 6월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서는 어떤 직접적인 힌트도 내놓지 않았다.

연준은 “물가지표와 글로벌 경제 및 금융의 진전상황 등을 지속적으로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 상황이 (경기 하강) 위험을 높이고 있다“는 3월 FOMC 성명서에 비해 다소 완화된 것이다. 또 연준은 고용시장과 가계소득에서 견고한 개선이 이뤄지고 있으며 물가도 중기목표치인 2%를 향해 움직이고 있다며 미 경제에 대해 낙관론을 내놓았다.


하지만 당초 공언한대로 연내 0.25%포인트씩 두 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상을 준비하고 있다는 뜻을 시사하지 않았다. 특히 6월 금리인상 여부에 대해 어떤 신호도 주지 않았다. 이처럼 연준이 미 경제 회복 속도를 조금 더 지켜보자는 입장을 보이면서 6월에도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관련기사



반면 애플 실적 실망에 따른 기술주 약세가 전체 지수를 끌어내렸다. 애플은 전날 장 마감 후 2016회계연도 2ㆍ4분기 주당순이익(EPS)이 아이폰 판매 감소 등으로 1.90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2.33달러와 시장 예상치 2달러를 모두 밑돈 것이다. 특히 매출은 505억5,000만달러로 지난해보다 13% 줄면서 2003년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그 여파로 애플 주가는 6% 이상 급락했다. 트위터 주가도 매출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며 16% 이상 폭락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는 예상보다 호조를 보였다. 미 상무부는 3월 상품지수 적자가 전월 628억 달러에서 9.5% 줄어든 569억 달러로 집계돼 일 년여만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주택 시장도 상승세를 지속했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는 3월 잠정 주택판매지수가 전월 대비 1.4% 증가한 110.5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10개월만에 최고치로, 전문가 예상치인 0.7% 증가를 웃도는 수준이다.

국제 유가는 미국 원유 재고 증가 소식에서도 기준금리 동결 발표 이후 상승하면서 3% 가량 급등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1.29달러(2.9%) 상승한 45.33달러를 기록했다. 런던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랜트유도 1.39달러(3.04%) 상승한 47.13달러를 나타냈다.

/뉴욕=최형욱특파원 choihuk@sedaily.com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