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팍팍한 살림에.. 한국인 은퇴준비 수준 갈수록 후퇴

계속되는 불황과 실업 등으로 인해 한국인의 은퇴준비 수준이 갈수록 후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삼성생명(032830) 은퇴연구소가 25~74세 비은퇴자 1,7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삼성생명 은퇴준비지수 2016’에 따르면 종합 지수가 55.5점으로 2014년 대비 2.2점 하락해 ‘주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양호’ 단계에 해당하는 이들의 비중은 2년 전 13.0%에서 올해 9.5%로 줄었으며 은퇴준비가 미흡한 주의·위험 단계는 87%에서 90.5%로 늘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의 은퇴준비 수준이 52.8점으로 가장 낮았고, 50대가 59.5점으로 가장 높았다. 특히 30대는 2년 전보다 3.5점, 40대는 3.6점씩 각각 하락해 하락폭이 컸다.

관련기사



노후생활 준비 수준을 재무·건강·활동·관계 등 4가지 영역으로 나눠 지수화한 결과 관계 지수가 58.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재무 지수(56.8), 건강 지수( 55.3), 활동 지수(50.5) 순이었다. 이 중 재무 지수는 유일하게 2014년보다 1.8점 상승했으며 건강 지수는 3.7점, 활동 지수는 5.3점, 관계 지수는 4.7점이 각각 하락했다.

윤원아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젊은 연령층은 눈앞에 닥친 삶의 문제로 노후준비가 우선순위에서 밀려난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20~40대는 현재 고령층보다 더 긴 노후를 살아갈 세대인 만큼 가능한 일찍 체계적인 준비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