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혁신현장 리포트] 다양한 과학적 분석으로 '불량식품' 잡는다

중앙대 불량식품근절사업단

중앙대학교 불량식품 근절을 위한 분석법 개발 연구사업단(단장 전향숙 교수)이 2014년 7월 경기도 가평군 좋은아침연수원에서 열린 워크숍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사진=중앙대학교 제공중앙대학교 불량식품 근절을 위한 분석법 개발 연구사업단(단장 전향숙 교수)이 2014년 7월 경기도 가평군 좋은아침연수원에서 열린 워크숍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사진=중앙대학교 제공




박근혜 대통령이 규정한 ‘4대악’ 중 불량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세계화되고 복잡해지는 식품 공급망 속에서 경제적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원료를 바꾸거나 부정물질을 식품에 첨가하는 불량식품 제조업자들에 대한 대응 방안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식품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식품의약품안전처(손문기 처장)에서는 불량식품 근절을 위해 불량식품근절추진단을 설치하여 불량식품 단속 매뉴얼 개발, 불량식품 사례 원인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불량식품 조사·단속 및 수거, 시험검사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손여원 원장)에서도 불량식품을 포함한 식품 등의 위해평가, 시험 방법의 개발 및 검정 등 국민에게 보다 안전하고 행복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

중앙대학교도 이 같은 불량식품 대응을 위해 적극적인 연구에 나서고 있다. 중앙대는 식약처의 지원을 받아 ‘불량식품 근절을 위한 분석법 개발 연구사업단’(단장 전향숙 교수)를 발족해 이 문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식약처는 2014년 불량식품 근절을 위한 과학적 판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과 54억 6,000만 원의 연구비를 투입해 연구 사업에 착수했다.


중앙대 사업단은 △이화학적 분석법을 활용한 불량식품 판별법 개발 △유전자 분석법을 활용한 불량식품 판별법 개발 △식품 중 미지정 첨가물 분석법 개발 등을 중점 연구하고 있다. 국내외에서 제조될 수 있는 불량식품의 잠재적 위협에 맞서 정확·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는 판별체계를 구축하고, 불량식품 정보 분석과 국내 실정에 맞는 사전예방 제도 등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관련기사



그 동안 연구사업을 진행하면서 2014년 12월 식품 중 미지정 보존료(붕산, Boric acid) 분석법을 개발해 지방청 검사지시에 제공되어 상어알(캐비어)의 안전관리에 활용됐다. 사업단은 또 지난해 4월 논란을 빚었던 ‘가짜 백수오 사건’과 관련해서는 백수오 제품 중 식품사용 금지원료인 이엽우피소 유전자 분석법을 개발해 식약처의 백수오 전수조사 지원에 기여했다. 참기름 및 홍삼, 인삼 제품에 다른 성분을 섞은 제품을 100% 판별해 낼 수 있는 ‘참기름 진위 판별법’과 ‘인·홍삼 제품 중 더덕, 도라지, 칡 혼입여부 판별법’을 개발해 주목받기도 했다. 식품 위·변조 성분에 대한 국제적 분석기술로, 세계 최초로 시도된 연구다.

올해 8월에는 불량식품사업단 성과발표회 및 국제심포지엄 개최와 동시에 불량식품 발생원인·동향과 이를 근절하기 위한 정부활동 및 성과 등 좀 더 전문적인 내용을 세밀히 분석해 ‘사업단 연구 성과집’ 발간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식약처 불량식품근절추진단과 홍보대상별 불량식품 구별법, 신고방법 등 대국민 홍보도 진행할 예정이다.

중앙대 사업단은 이 같은 연구 수행을 통해 도출된 성과를 주무부서인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신종유해물질팀과 긴밀히 협의해 정책적으로 반영·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전향숙 사업단장은 “불량식품의 과학적 근거 제시를 통해 먹거리 안전에 대한 소비자 불안을 해소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라며 “선의의 식품제조업체를 보호하기 위해 사전예방제도에 대한 토대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