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백상 탄생 100주년 세미나> 百想 장기영, 巨人의 숨결을 다시 느끼다

"1960년대 시장친화 정책으로 한국경제 도약 이끌어...리더십 재조명돼야"

28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백상 장기영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박지원(오른쪽부터 시계 반대 방향) 국민의당 원내대표, 정세균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 장재민 서울경제신문 이사회 의장, 김인호 한국무역협회장, 이병규 한국신문협회장, 조정원 세계태권도연맹 총재, 정대철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 제재형 한우회 회장,손병두 호암재단 이사장 등이 발표를 듣고 있다.  /이호재기자28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백상 장기영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박지원(오른쪽부터 시계 반대 방향) 국민의당 원내대표, 정세균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 장재민 서울경제신문 이사회 의장, 김인호 한국무역협회장, 이병규 한국신문협회장, 조정원 세계태권도연맹 총재, 정대철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 제재형 한우회 회장,손병두 호암재단 이사장 등이 발표를 듣고 있다. /이호재기자


“과거 1960년대에 많은 국가들이 시장친화적인 경제정책을 마련했지만 이를 실행에 옮긴 국가는 대한민국이 유일합니다. 바로 백상 장기영이라는 행동파 경제부총리가 있었기에 국가경제의 구조를 개혁하고 도약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28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열린 ‘백상(百想) 장기영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 세미나’에 참석해 구조조정이 화두로 떠오른 우리 경제 현실에서 1960년대 환율개혁·금리현실화·수입자유화 등 잇따른 개혁조치를 단행했던 백상 장기영 선생의 리더십이 재조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종속이론이 판을 치던 상황에서 가난한 한국이 시장친화적 정책을 채택해 실천한 것은 경이롭게 느껴질 정도”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1916년생인 백상 장기영 선생은 한국은행 부총재, 서울경제신문과 한국일보를 창업한 언론인, 경제부총리(1964~1967년), 9대 국회의원,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며 다방면에 걸쳐 큰 족적을 남겼다. 정대철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는 “대한민국 시장경제의 기틀을 마련했고 정치·문화·체육·언론 등 어느 분야에서나 실천가이자 개척가로서 중심에 섰던 거인”이라며 “5개 분야에서 다섯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을 혼자서 해냈다”고 평가했다. 이어 “백상의 가장 큰 특징은 강한 추진력”이라며 “영국 사람이 걸으면서 생각하고 프랑스 사람이 생각한 다음에 뛴다면 우리는 뛰면서 생각해야 된다고 했던 게 백상”이라고 말했다.

정동구 태평양아시아협회장(전 한국체육대학교 총장)은 “우리를 코리아(Korea)로, 북한을 노스코리아(North Korea)로 정한 게 바로 백상”이라며 “국제 스포츠계에서 한국의 위상을 확립했다”고 평가했다. 심상민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미디어 경영과 문화 관련 모델로 삼기 위해 ‘장기영학’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 정세균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 손병두 호암재단 이사장, 김인호 한국무역협회장 등 정치·경제·문화·체육계 원로와 전현직 사우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