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아시아나, 금호터미널 지분 등 매각 3,900억 수혈

부채비율 991%서 778%로

경영정상화 작업도 탄력

아시아나항공이 비주력 사업 부분의 자산을 매각해 3,900억원 규모의 유동성을 확보했다. 부채 비율을 낮추고 금융 비용을 줄여 수익성 개선은 물론 지난해 말부터 진행 중인 경영 정상화 작업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시아나항공은 29일 이사회를 열고 보유 중인 금호터미널 지분 100%와 금호아시아나플라자사이공(KAPS) 지분 50% 전량 매각을 의결했다. 매수인은 각각 금호기업㈜과 외국계 부동산투자회사다. 매매금액은 2,700억원과 약 1,230억원이다. 아시아나항공의 이번 자산 매각은 △회사와 사업 연관성이 적고 시너지가 없는 비핵심 사업인 점 △2011년 인수 이후 배당이 없었던 무수익 자산(금호터미널)인 점 △공급 포화로 인해 2014년을 기점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정체에 들어간 자산(KAPS)인 점 등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번 지분 매각을 통해 약 561억원의 이익을 거뒀다고 설명했다. 매매금액은 회계기관을 통한 가격 산정을 거쳐 정해졌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번 매각을 통해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자금 조달의 어려움에 미리 대비하고 유동성을 확보하는 한편 부채 비율을 현재 991%에서 778%까지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비용 조달을 위한 이자 등 금융비용 감소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실제로 지난달 28일 진행된 아시아나항공 주주총회에서는 일부 주주들이 차입금을 늘리지 말고 비핵심 자산을 매각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주주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주가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말부터 경영 정상화를 위해 노선 구조조정 및 국내 23개 지점을 14개 지점으로, 해외 128개 지점을 92개 지점으로 통폐합하고 있다. 또 조직 슬림화를 통해 비핵심 업무 아웃소싱, 직무 변경을 통한 타업무 재배치, 희망휴직 실시 등을 진행 중이다. 임원 차량 지원 중단과 임원 연봉 반납, 공항 자동화 등 서비스 프로세스 개선, 제휴수입 확대, 부대수입 창출 등 비용절감과 수입증대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