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박 대통령 “3국 공동 노력으로 비 온 뒤 땅처럼 더 굳어져야”

3국 정상, 국립현대미술관서 만찬 외교

한중일 3국 정상이 회담을 마치고 1일 저녁 미술관에서 현악기 선율을 음미하며 오붓하게 저녁식사를 했다.

박근혜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총리,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 미술관인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에서 만찬을 했다. 세 나라의 항구적 평화를 위한 ‘협력과 동반’이라는 미래지향적인 메시지를 담았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회화에 현대 정보통신(IT)기술을 결합한 미디어 아트 작가들의 작품들이 전시됐다. 한국의 이이남(평화의 꽃), 일본의 코세무라 마미(사계화초도), 중국의 양용량(영원한 날의 밤) 작가의 작품이 걸렸다.

3국의 어린이들이 청사초롱을 들고 각 국가의 대표 곡을 부르며 만찬시작을 알렸다.


한국의 대표적인 넌버벌 공연 ‘난타’가 흥겨운 전통장단에 맞춰 이야기를 풀어냈고 비보이와 미디어영상이 융합된 역동적 퍼포먼스가 선보였다. 한국의 거문고, 일본의 고토, 중국의 쟁 등 3국의 전통 현악기들이 어우러져 뱃노래, 소란부시, 고기잡이 노래 등이 연주됐다. 퓨전 국악밴드의 협연이 이어졌다.

관련기사



만찬장소는 한옥의 담장, 대문 등 전통적 미를 살려 조성됐으며 가을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영상이 펼쳐지는 미디어 월과 미디어 테이블을 통해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한국 문화를 소개했다.

박 대통령은 건배사를 통해 “서로 이견이 있다고 해도 진정성을 가지고 해결해 나가면서 공동의 도전에 단합된 힘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며 “지금 우리가 특히 유념해야 할 것은 오늘 함께 만들어 낸 협력의 동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서 미래의 더 큰 결실로 이어가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 ‘비 온 후에 땅이 더 굳는다’는 격언은 3국에서 비슷하게 사용되고 있다”며 “저는 우리의 공동노력으로 3국간 신뢰와 협력의 관행을 비 온 뒤의 땅처럼 굳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