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이란서 52조원 ‘잭팟 수주’ 발판. 에너지 316억불,인프라 121억불 등

석유·가스·전력 등 에너지 재건 316억 달러

철도·도로·수자원관리 등 인프라 건설 참여 121억2천만 달러

보건·의료 18억5천억 달러

이란 경제 곳곳에 한국 기술 이식…핵심 경제 파트너로

교역규모 조기 회복은 경제활성화에 직결

에너지산업, 인프라 구축과 현대화 참여 길…장기적 파트너십 기대

박근혜 대통령의 이란 국빈방문을 계기로 중동의 마지막 블루오션인 이란에서 최대 52조원 규모의 인프라 건설 및 에너지 재건 사업을 수주하는 발판이 마련됐다.

박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오전 사드아바드 좀후리궁에서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경제 분야 59건을 포함해 모두 66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역대 최대의 경제외교 성과를 창출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인프라 및 에너지 재건 등 30개 프로젝트에서 MOU 및 가계약 체결 등을 통해 확보한 수주 가능 금액은 371억달러로 일부 사업의 2단계 공사까지 감안하면 최대 456억달러까지 수주금액이 늘어날 것으로 청와대는 전망했다.

분야별로는 △철도·도로·수자원관리 등 인프라 건설 참여 121억2,000만달러 △석유·가스·전력 등 에너지 재건 316억달러 △보건·의료 18억5,000억달러 등이다.

주요 인프라 사업은 철도 노반건설 및 차량공급을 담은 이스파한~알와즈 철도 사업(53억달러), 테헤란과 카스피해(海)를 연결하는 테헤란 쇼말 고속도로 사업(최대 15억달러) 등이다. 아울러 이란 경제 곳곳에 한국의 기술과 방식을 이식해 얻을 수 있는 장기적인 효과도 크다.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은 2일(현지시간) 테헤란에서 기자들과 만나 “제2 중동붐의 한 축인 이란 시장을 선점하는 발판을 마련했다”면서 “이란은 발전 가능성과 잠재력 면에서 큰 의미가 있어 수출 증대와 한국 경제 재도약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은 지난 1월 국제사회의 제재가 해제된 후 제6차 경제개발5개년계획(2016~2020년)에 따라 대대적인 경제재건 프로젝트를 가동하고 있다. 오는 2020년까지 에너지 분야에만 1,85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하는 한편 도로·항만·전력·수자원 등 각종 사회 인프라를 보강하는 데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정상외교를 계기로 한 경제효과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는 교역 규모를 국제사회 제재 이전으로 회복시켜 경제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한·이란 교역액은 제재 이전인 2011년 174억달러였다가 지난해 61억달러로 65% 축소된 상태다. 해운 물동량도 2011년 이전 1,632만톤에서 2015년 726만톤으로 55% 감소해 제재 이전 수준 회복이 시급하다.

관련기사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한국은 인프라 기자재 등을 수출하고 석유와 가스 등을 수입해 조기에 교역 규모를 회복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양국은 선박의 자유로운 항만 출입을 보장하는 내용의 해운 협정과 세관 상호지원 협정을 체결하고 양국 교역회복과 투자활성화를 위한 민간 교류 확대를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청와대 측은 전했다.

둘째는 이란 인프라 사업에 대한 한국 기업의 진출이다. 53억달러 규모 이스파한~알와즈 철도 사업에 대한 설계·구매·시공(EPC) 일괄 수주 가계약을 맺었고 차바하르~자헤단 구간 600㎞ 철도 공사(17억달러)는 MOU를 체결했다. 미아네즈~타브리즈 철도 공사(6억달러), 테헤란 쇼말 고속도로(10억달러)도 한국 기업이 참여하는 MOU가 맺어졌고 2억6,000만달러 규모 디젤 철도차량을 공급하는 프로젝트도 MOU가 체결됐다. 이 밖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는 부셰르시 스마트 물관리 사업(6,000만달러), 베헤시트 아바드 댐 및 도수로 사업(2억7,000만달러) 등 물관리 사업도 각각 한국 기업 참여 가능성을 높였다. 이 같은 인프라 분야에서 총 7건, 금액으로는 116억2,000만달러의 가계약 또는 MOU가 이뤄졌다.

이란은 국토 면적이 한반도의 7.5배지만 산악과 사막이 많고 경제가 어려워 교통이 낙후돼 있다. 아울러 연평균 강수량이 300㎜인 물부족 국가여서 물관리도 중요하다. 이란의 새로운 사회기반시설에 한국 기술을 적용하는 데 성공할 경우 주변국으로부터의 추가 수주 전망까지 밝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는 에너지 관련 사업과 발전소 건설 사업이다. 먼저 에너지의 경우 16억달러 규모 이스파한 정유시설 개선사업에 대한 합의각서(MOA)와 바흐만 정유시설 1단계(20억달러) 사업에 대한 MOU가 체결됐다. 또 사우스파 액화석유가스(LNG) 플랜트(35억달러) 협상을 재개하기로 했고 NGL-2300 건설(9억달러) 사업에 대한 MOA, 비드 볼란드2 가스 정제사업(30억달러), 이란~오만 해저 파이프라인 프로젝트(15억달러)에 대한 MOU가 맺어졌다. 사우스파 12단계 확장 2단계 사업(36억달러)은 기본협정(FA)이 체결됐고 아살루에 폴리프로필렌 공장 건설사업(5억달러)은 MOA가 체결됐다. 현대미포조선의 12억달러 규모 선박 수주협상이 다시 진행되기로 결정된 것도 성과다.

이 같은 에너지 분야는 모두 9건, 178억달러 규모의 MOA 또는 MOU가 체결됐다. 이란 역시 다른 중동 산유국과 마찬가지로 원유 중심의 경제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해 정유·가스정제·석유화학 등 산업화에 국가의 명운을 걸고 있다. 한국이 이들 산업화에 기술과 설비를 제공하고 시공까지 해줄 경우 한국은 이들 산업계와 영원한 파트너가 될 수 있다.

발전 분야에서도 바흐티아리 수력발전(19억달러)은 EPC 가계약이 이뤄졌고 모크란 담수·발전 플랜트(6억달러)는 주요 조건 협상단계까지 논의가 발전됐다. 이 밖에 카룬2 수력발전(5억달러) 등 발전 분야에서 총 58억달러의 가계약 또는 MOU가 체결됐다.

안 경제수석은 “이란은 연평균 전력 수요가 5.5% 증가하고 있으며 제재 해제 이후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발전 및 송배전 설비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이번 정상외교를 통해 한국 기업 진출 토대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