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韓銀 발권력 요구하면서 추경은 못한다는 유 부총리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추경 불가론을 재확인했다. 유 부총리는 2일(현지시간)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에 앞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구조조정에만 포인트를 맞추면 추경 요건이 안 된다”며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경기 부진과 관련해서도 “이 정도 가지고 경기하강이 심각해 추경을 할 수 있다고 보기는 굉장히 어렵다”고 강조했다. 반면 한국은행의 발권력 동원에 대해서는 “경제정책이라는 게 환경에 따라 우선순위가 바뀔 수 있다”고 했다. 구조조정을 위해 한은이 돈을 찍어내는 것은 괜찮고 추경을 편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얘기로 들린다.


지금 당장 추경을 요구하자는 게 아니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유 부총리의 어법에 모순이 있다는 점이다. 그가 추경 불가의 근거로 내세운 것은 경기다. 아직 추경이 필요할 정도로 ‘엄청난’ 위기가 아니라는 논리다. 그렇다면 중앙은행에 대한 독립성 침해 논란을 부르면서까지 국제적으로 문제의 소지가 될 수도 있는 한은의 발권력을 요구하는 상황은 위기가 아니고 무엇인가. 기업 구조조정이 진행되면 연관 기업이 줄도산하고 실업자가 쏟아져 나올 게 불 보듯 뻔하다. 일각에서 경제사령탑의 상황인식이 안이하거나 국회의 비판을 피하려고 꼼수를 쓴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관련기사



기업 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는 과제다. 하지만 그로 인해 생기는 후폭풍은 최소로 줄여야 한다. 그러잖으면 우리 경제는 돌이킬 수 없는 치명상을 입을지 모른다. 통상마찰 우려나 특정 산업 재편에 국민 혈세를 동원한다는 부담에도 불구하고 한은이 돈을 찍어내는 편법을 동원하는 것은 작금의 상황이 그만큼 위중하기 때문이다. 같은 논리라면 추경도 각오할 수 있어야 한다. 한은이 돈을 찍어내든 정부가 추경을 편성하든 어차피 부담은 국민의 몫일 수밖에 없다. 시간 탓만 할 게 아니라 야당 의원 한 사람 한 사람을 붙잡고 절박한 마음으로 설득해야 마땅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