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 석유화학업계 '석탄 사용 금지' 논란 재점화

고체연료 사용 20년 넘게 금지

"오염물질 배출저감 기술 발달돼

규제 합리적으로 풀어야" 목소리

市 "대기환경 크게 악화" 부정적

울산지역 석유화학업계에 ‘석탄’ 사용 금지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울산시의 경우 대기환경 차원에서 전남과 충남 등 다른 지역들과 달리 고체연료 사용을 20년 넘게 금지해 놓았다. 하지만 최근 오염물질 배출저감 기술이 크게 발달한 상황에서 타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와 함께 글로벌 기업 유치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일 울산지역 석유화학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실용화센터에서 열린 ‘제3회 화학네트워크 포럼 및 석유화학산업 위기극복 시민토론회’에서 고체연료 규제 정책을 합리적으로 풀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울산 석유화학단지 입주 업체들은 세계 최고수준의 생산기술을 보유하고도 제조원가의 약 10%를 차지하는 유틸리티(에너지) 비용을 줄이지 못해 경쟁에서 뒤 쳐지고 있다는 문제가 표출된 것이다.


석유화학단지에서 스팀을 가장 많이 쓰는 곳은 SK울산공장으로 하루에 약 2,400톤, 1년에 2,000억 원 이상을 쓰고 있다. 그런데 SK울산공장 등 석유화학 단지에 공급되고 있는 스팀은 스팀생산업체인 한주가 현재 LNG 보일러 2대와 유연탄, 이른바 고체연료 보일러 2대에서 생산하고 있다. 한주는 LNG나 벙커 C유 보다 가격이 싼 유연탄 보일러를 한 대 더 돌리면 최소 17% 싼 가격에 공급해 화학업계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또 방지시설을 설치하면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8배 가까이 줄여 기준치를 밑돈다는 주장이다. 오광중 부산대학교 교수는 “유연탄 연로는 탈황설비와 탈질설비를 최신 방지시설로 바꾸면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 오염물질 배출을 90% 이상 줄일 수 있다”며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벙커C유 보다 60~80% 적을 것”으로 분석했다.

무엇보다 전남 여수와 충남 서산과 달리 울산에서만 고체연료를 허용하지 않아 글로벌 기업 유치에 지장을 주고 있다는 논리다. 조일래 석유화학공업단지협의회 회장은 “글로벌 회사들이 울산에 사업장을 열기 위해서는 유틸리티 단가가 낮아야 한다”며 “그런데 현재 울산은 고체연료 사용금지구역이라는 점에서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고체연료 사용 승인권을 쥔 울산시는 부정적 견해를 유지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경제성만 고려해 많은 업체들이 고체연료를 다시 사용한다면 울산시의 대기환경은 돌이킬 수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울산시는 1990년대 초반 고체연료 허가를 내 준 뒤 현재까지 허가를 내지 않고 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