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통신료 인하·무상복지·저유가에 평균 소비성향 ‘역대최저’

현대硏, '평균소비성향 변동의 기여요인 분해와 시사점' 보고서





지난해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한 평균소비성향에 통신료 인하와 무상복지, 저유가 등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세 등 주거비 가격 상승과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로 인한 자동차 구입이 늘면서 평균소비성향의 추가 하락을 막았다.

현대경제연구원 8일 내놓은 ‘평균소비성향 변동의 기여요인 분해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77.1%였던 가계의 평균소비성향은 지난해 72.4%로 4.7%포인트 하락했다. 평균소비성향이란 가처분소득 중에서 소비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6~2011년까지 77%대 전후를 유지하던 평균소비성향은 2012년 이후부터 급감하기 시작했다. 이후 꾸준히 하락하면서 지난해에는 전국 1인 가구 기준 통계작성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국 2인 가구 기준 역시 자료가 제공되기 시장한 2003년 이후, 도시 2인 가구는 외환위기 이래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관련기사





품목별로 보게 되면 63개 품목이 평균소비성향이 줄어드는 데 기여했고, 늘어나는 데 영향을 준 항목은 절반 수준인 34개 품목에 불과했다. 통신서비스(-1.03%포인트)와 복지시설(-0.85%포인트), 운송기구 연료비(-0.79%포인트), 연료비(-0.65%포인트) 등이 평균소비성향을 끌어내리는 가장 큰 요인이었다. 자녀 교육 관련 품목 들인 초등교육(-0.30%p), 중등교육(-0.11%p), 고등교육(-0.51%p) 및 학생학원교육(-0.48%p) 등도 평균소비성향을 크게 낮췄다. 의류 관련 품목과 식사 관련 지출도 평균소비성향 하락에 기여했다.

반면 전세 가격 급등으로 인한 월세 전환은 평균 소비성향을 0.61%포인트 끌어 올렸다. 정부의 소비진작책 효과로 늘어난 자동차 판매는 0.53%포인트, 휴대폰 수요 증가로 인한 통신장비는 0.52%포인트 각각 평균소비성향을 높였다.

김천구 현대연 연구위원은 “석유류·통신비 등 필수재 가격 안정으로 늘어난 가계의 소비 여력이 내구재, 비내구재, 서비스 등 다양한 부분의 소비로 연결되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또 가계의 주거비 및 가계부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중장기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