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구·달성군 "산단 개발" vs 부산·울산 "식수 위협"…영남권 낙동강 전투

대구 "첨단 업종 유치로 난립 막아 오염 줄 것"" vs 부산·울산 "개발 반대 공동 대응…정부에 건의"





낙동강 상류에 있는 대구시와 달성군이 옛 위천국가산업단지 부지에 대규모 공업지구 개발에 나서자 낙동강 하류 지방자치단체인 부산과 울산 등지에서 수질 오염을 우려하며 반발하고 있다. 건강한 물 확보가 낙동강 하류 지자체들의 주요 과제라는 점에서 지자체 간 ‘낙동강 전투’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8일 부산·울산·대구시 등에 따르면 대구시와 달성군은 최근 낙동강 달성보 인근 달성군 논공읍 상·하리 일원에 122만5,300㎡ 규모의 산업유통단지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계획에 따르면 이곳에는 64개 업체가 입주하는 산업시설과 함께 향토음식점, 유스호스텔, 오토캠핑장, 카페거리, 펜션 등이 들어선다. 이 지역은 지난 1991년부터 달성군이 3차례에 걸쳐 산업단지를 추진하다가 수질 오염 등 인근 지자체의 반발로 중단된 곳인데 최근 사업이 다시 추진되는 것이다. 달성군 관계자는 “일반공업지역 지정 이후 개발 지연에 따른 주민 민원과 주변 공장 확장 용지 부족을 이유로 사업을 재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낙동강 하류에 있는 부산·울산시와 경남도, 환경단체 등은 대구시와 달성군의 개발 사업에 대해 수질 오염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며 반발하고 있다. 이들 지자체에 따르면 계획대로 관련 시설들이 들어서면 여기서 나오는 오·폐수 발생량은 하루 1,596㎥로 추정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상·하리 일원은 일반공업지역으로 지정돼 개발 압력이 심한 곳으로 환경 오염이 거의 없는 도시형 첨단업종 유치 등 계획적 관리를 위해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라며 “방치하면 공장 난립으로 오히려 오염이 더 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낙동강 하류 쪽은 1991년 낙동강 중·상류에서 발생한 페놀 오염 사고로 지금까지도 식수에 대한 불안감이 존재한다. 더구나 최근 낙동강 중하류에 유해화학물질, 항생제, 녹조 발생 등으로 먹는 물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과 불신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기사



특히 댐의 물을 마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 낙동강 물을 사용하고 있어 수돗물 원수가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는 부산은 20여년 동안 제2의 식수원 찾기에 나서고 있으나 아직 마땅한 대안이 없다. 최근 야심 차게 추진하고 있는 ‘낙동강 하굿둑 완전 개방’도 농경지 보상과 대체 취수원 마련 등 사회적 합의를 이뤄내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건강한 마실 물 찾기에 비상이 걸렸다.

부산시 관계자는 “대구시나 달성군도 나름대로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 사업을 추진하겠지만 하류 지역 시민들의 식수가 우선”이라며 “관련 법령을 검토해 이 사업을 개선할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라 말했다.

매년 전체 사용량의 12~17%(1,600만톤)를 낙동강 원수로 사용하고 있는 울산시도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다. 울산시는 최근 대구지방환경청에 공문을 보내 “평소 낙동강 원수를 사용하고 있고 가뭄 시에는 의존율이 더 높아 수질이 악화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공업지구 개발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취수원 위협을 받는 대구시가 현재 구미시 상류로 취수원을 이전하려고 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하류 지역 식수원을 위협하는 공업지구 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며 “울산의 물 부족 현실을 감안할 때 달성 공업지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면 부산시와 경남 양산시·김해시 등과 공동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대구=손성락기자·울산=장지승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