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시,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전국 최다 사업비 유치

부산시가 스마트그리드 사업모델을 실제 환경에 적용하는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을 유치했다.

부산시는 LS산전, SK텔레콤과 함께 최근 정부의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에 1,258억원 규모의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사업예산은 국비 16억원, 시비 34억원, 민간 1,208억원 등으로 전국 지자체 가운데 최대 규모다.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은 제주실증사업과 시범사업 등을 통해 확보한 사업모델들을 특정지역에서 우선 사업화해 향후 전국 범위로 확산하는 거점사업이다.

또 실제 전력시장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지능형전력망법 등 관련 법률 보완과 제도개선 등을 통해 확산사업지역에 우선적으로 적용해 사업효과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전기요금 현실화 △시간대별 전기요금을 차별화하는 에너지 가격체계 개선 △EMS(에너지관리시스템) 등으로 절약된 전기를 전력거래시장에서 판매하는 DR(Demend Response)시장 허용 등 전력산업의 제도개편도 함께 추진될 예정이다.


부산시는 올해부터 2018년까지 에너지 다소비지역 아파트 5,500 가구에 AMI(스마트계량기)를 설치하고, 에너지정보 서비스 및 전력 절감 등을 제공하는 모델을 갖춘다.

관련기사



또 에너지 다소비 빌딩 11개소에 BEMS(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를 설치하고 에너지 다소비공장 14개소에 FEMS(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도 설치한다.

부산시는 이번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을 통해 △에너지 절감량 2,472만9,461kwh △CO₂배출감소 54만4,596톤 △고용유발효과 880명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LEMS(조명에너지관리시스템) 사업은 부산지역 업체가 우선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도록 해 지역 조명부문 사업 활성화와 기술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도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는 이에 앞서 2013년 8월 정부의 스마트그리드 보급지원사업에서 국비 42억원을 유치해 동래시장, 부산산업용품유통단지, 신라대에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사업이 완료되는 2018년도에는 전력피크 시에 수요대처가 가능하고 전력사용의 효율화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2018년 이후에도 부산시만의 특화된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계속 추진해 부산의 미래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